월마트의 비지오(Vizio) 인수, 달아오르는 '쇼핑 TV'시장(Walmart's Vizio acquisition, a hot market for 'shoppable TV')
글로벌 1위 유통 기업 월마트, 스마트TV제조사 비지오 20억 달러에 인수 제안. 식료품 유통을 넘어 디지털 광고, FAST시장 점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 쇼퍼블 TV시장도 커져
TV를 살릴 마지막 구세주는 슈퍼볼(The last savior to save linear TV is the Super Bowl)
테일러 스위프트의 2024 슈퍼볼, 역대 최대 시청률로 끝나. 여전히 빅스포츠 이벤트는 실시간 TV를 살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
FAST채널, 2000개 돌파…콘텐츠의 간극을 메우는 전략 필요(FAST channels exceed 2000...need a strategy to fill content gaps)
북미 지역 FAST채널 2,000개 돌파 시대, FAST확산이 본격화됐지만, 수익 악화에 대한 우려도. 특히, 해외 FAST시장을 준비하고 있는 K콘텐츠 기업들의 차별화 전략이 필수
스위프트와 BTS의 공통점 “게임의 룰을 바꾸는 빅 스타의 힘”(What Swift and BTS have in common "The power of big stars to change the rules of the game")
테일러 스위프트, 슈퍼볼을 남자의 경기에서 가족의 경지로 전환시키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서 스타의 힘이 왜 중요한 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 BTS와 스위프트의 공통점
테일러 스위프트, 3억 3,000만 달러를 벌어들이다. 슈퍼볼 경제학(Super Bowl 2024 Economics)
2024 슈퍼볼 캔자스시티의 2회 연속 우승으로 마무리. 슈퍼볼 광고 특징은 최고 주인공은 AI. 결승전 참여했던 테일러 스위프트도 3억 3,000만 달러 경제 만들어
소셜 미디어 시대, 안락의자 탐정을 찾아나서고 있는 TV뉴스들(The era of social media, TV news is going armchair detective)
틱톡 시대, 틱톡과 동거를 시작한 뉴스 미디어들. 수익화는 아직이지만, 젊은 이들을 TV로 옮겨오는데는 효과적. 안락의자 탐정을 찾아나서고 있는 TV뉴스
지속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가상 PPL'(For Sustainable Digital Content: Virtual Product Placement)
AI를 통해 가상의 물체를 영상에 배치하는 가상 PPL. 유튜브 등 디지털 콘텐츠의 추가 수익원으로 떠올라. VOD시대와 AI가 만드는 가상 PPL시대. 한국도 예외는 아니야.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우리는 함께 전진할 겁니다(Happy New Year. We're going full steam ahead together)
다이렉트미디어랩,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미디어 관점 'CES2024보고서' 발간(상.하). 현장 투어와 함께 SXSW, NAB, Vidcon도 엔터테크 전문 보고서 준비 중
구글 생산성 향상 생성AI툴 제미나이(Gemini) 출시
구글 생산성 향상 AI 제미나 출시 프리미엄(월 20달러) 등 기존 툴에 포함돼 월 과금 모델로 출시 예정.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등과 생산성향성 AI툴 경쟁 본격화
[K-content]"Queen of Divorce"(comedia romántica coreana)
K드라마 이혼전문 변호사 '끝내주는 해결사(Queen of Divorce)' 스페인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