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medialab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스트리밍 서비스, 미디어의 미래, 저널리즘 뉴스 , 구독 경제, OTT, 뉴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정책, 광고의 미래

Directmedialab
플랫폼&소셜&정책스트리밍&콘텐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할리우드와 AI, 그리고 클라우드...구글의 뜨거운 관심

구글, 텍스트 비디오 전환 AI스타트업 런웨이(Runway) 1억 달러 투자. 구글, AWS 등은 AI스타트업 집중 투자. 미래 최대 고객이자, 기업 가치 상승도 기대. 특히, 할리우드와 AI 결합에 관심

스트리밍&콘텐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석세션 시즌4가 끝이 아니다.? 아직은 죽지 않은 IP

석세션 시즌4 성공리 마감. 시청자 수 290만 명. 역대 시즌 중 최다. 수익 증대에 따라 시즌5 이어질 가능성도 커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게임 스트리밍 시장 지각 변동 '킥(Kick)'의 하이킥

트위치가 장악하고 있던 게임 스트리밍 시장에 새로운 강자 '킥' 등장. 수익의 95%를 전달하는 파격적인 전략에 게임 스트리머 이용 급증. 하지만, 지분 구조 등은 아직 베일에

플랫폼&소셜&정책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1등부터 꼴등까지 모두 AI...AI 붐, 2022년 69조 투자

1등부터 꼴등까지 모두 AI. 2022년 AI에 투자된 금액만 70조원. 2023년 상위 10건 중 4건은 오픈AI와 앤스로픽 등 AI 개척 스타트업에 집중..AI는 과거와 다르다. 2026년 130조 시장 예상

네바다&리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제레미 레너, "리노(RENO) 촬영 최적 인프라와 갖췄다" 호크아이, 리노 콘텐츠 제작 산업 전도사로

슈퍼 히어로 '호크아이'로 유명한 제레미 레너. 리노(RENO)영화 촬영 전도사로. 주정부에서 북부 네바다 세제 지원 적극 요청한 이후 UNR 저널리즘 레이놀즈 스쿨에도 방문

스트리밍&콘텐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넷플릭스 수요와 패스워드 공유 제한 성공 '방정식'

5월 23일 넷플릭스 비밀번호 공유 제한(미국) 전격 실시. 많은 구독자 이탈 가능성. 하지만 넷플릭스는 결국 받아들일 것으로 자신. 전문가들은 '넷플릭스의 점유율 불안하다고 지적'. 결국 문제는 이탈율과 추가 수익의 상관관계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AI테크놀로지 기업]네오사피엔스(Neosapience)

한국과 미국 언론에 소개된 AI보이스 및 가상 인간 제작 기업 소개. 네오사이펜스, AI비디오, 오디오 플랫폼 타입캐스트 제공. 버추얼 인간 위한 AI보이스 제작 , 인공 목소리 제공. 할리우드 진출 계획

플랫폼&소셜&정책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뉴욕타임스 오디오앱...배경엔 '뉴스 팟캐스트'의 가능성

뉴욕타임스의 오디오앱 단독 출시의 배경엔 구독자와 시장...팟캐스트 오디오 뉴스의 가능성. 젊은 세대를 오디오 팟캐스트 뉴스에 찾아오게 만드는 전략은 '숏 폼 팟캐스트'

스트리밍&콘텐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이제는 생존 경쟁…스트리밍 워(War) 2.0/1분기 결산

글로벌 스트리밍 1분기 재앙의 시간. 흑자 사업자 워너뿐. 디즈니+ 400만 명 구독자 감소. 하반기도 큰 성장률 없을듯.방법은 비용 절감. 이제는 생존 싸움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동영상]월간OTT, 스트리밍 전쟁은 끝났는가? 디즈니+ 400만 감소

스트링의 국내외 이슈를 정리. 정책부터 콘텐츠까지 다양한 핵심 진단. 유건식 전 KBS공영미디어 연구소장(박사), 노창희 박사(디지털정책연구소), 한정훈 기자. 시리즈 집필진 총출동

플랫폼&소셜&정책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AI와 비디오 제작...AI는 언제 '오스카 영화를 만들 수 있을까'

생성AI는 우리 제작 환경도 변화시켜. 텍스트를 비디오로 만들어는 '텍스트 비디오' AI변환 솔루션 개발 활발. 현재 단편 실험 작품들은 제작. 언제 장편영화를 AI로 만들 수 있을까.?

스트리밍&콘텐츠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영상]FAST is Global...한국 FAST의 미래는 삼성에게

미국 위주의 FAST 시장. 유럽으로 확산. 한국의 열기는 언제? 삼성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