퍽이 만든 수익 모델은 "구독 미디어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사이"
인플루언서를 취재하는 인플루언서 기자. 기자들의 동기를 부여하는 수익 공유 모델. 전문가들을 위한 Btop(profesional)에서 발생하는 미디어 경제
인플루언서를 취재하는 인플루언서 기자. 기자들의 동기를 부여하는 수익 공유 모델. 전문가들을 위한 Btop(profesional)에서 발생하는 미디어 경제
디즈니의 위기: 스트리밍 서비스 침체, 리니어TV 사업 매각 검토. 아이거 CEO의 미래 등. 이에 아이거는 디즈니는 '전략적 다양성을 가지고 가겠다는 전략. 그러나 한국에선 불가능?
작가와 배우 파업 속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의 AI 구인난. 넷플릭스, AI프로덕트 매니저 90만 달러 연봉으로 채용. 디즈니 역시, 생성AI 스페셜리스트 급구, 소니 AI윤리 전문가 채용
디즈니+, 미국 구독자 30만 명 감소(4,600만 명), 구조조정 여파 지속, 매출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불안. 2024년 흑자 전환 위한 투자 감축 계속
챗GPT의 개발사 오픈AI, 저널리즘 윤리에 투자, NYU와 39만 ,5000만 달러 기금 운용. 이에 앞서 저널리즘 프로젝트에도 투자
파라마운트+, 2분기 70만 명 구독자 증가 6,100만 명. 그러나 적자 폭은 줄어. 하지만, 영화 부문 매출은 40% 감소. '탑 건: 매버릭'이 없다는 이유
제 1회 엔터테크 서밋 개최. AI와 엔터테인먼트, 사람을 이야기하는 자리. 우리의 목표는 전달이 아닌 공감
아르헨티나 축구 영웅 리오넬 메시는 애플 TV+의 '오징어 게임'. 메시가 만들어 내는 스트리밍 비즈니스 구독자
로컬 시장을 위해 로컬에 투자하는 넷플릭스. 한국 시장이 유독 중요한 이유? 글로벌에서 먹히는 로컬 콘텐츠는 한국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