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미래는 테크놀로지와 콘텐츠의 공존에 있다(Our future lies in the coexistence of technology and content)"
"테크놀로지와 콘텐츠가 만나면 'K콘텐츠는 문화가 된다.' K콘텐츠 시대의 확장성을 위해선 플랫폼과 테크놀로지 전략이 필수..K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서밋
문화 예술+콘텐츠+도시=크리에이티브 성수(Culture + art + content + city = creative Seongsu)
"문화 예술+콘텐츠+도시=크리에이티브 성수" 동네 전체를 문화 플랫폼으로 만드는 윤광식 성동문화재단 대표
넷플릭스, 3분기 잿팟...900만 구독자, 2억 5,000만 명 임박
넷플릭스, 광고 상품 성장 탓에 900만 명 신규 확보.자신감 얻은 넷플릭스 월 이용 가격 높여. 넷플릭스 전성시대 개막
LA총영사관, 청년 취업 지원을 위한 제13회 LA취업박람회 온라인 개최
LA총영사관, 청년 취업 지원을 위한 LA취업박람회 23일 온라인 개최. 웹사이트(https://jobkoreausa.com/kotra)를 통해 직접 신청
[기획10(끝) 그레이트 리번들링 시대 개막, 번들과 함께 뜨는 K스타일 스트리밍]
그레이트 리번들링 시대 개막, 번들과 함께 뜨는 K스타일 스트리밍. 시장이 성숙되면 직접 구독보다 간접 구독이 뜬다. 한국 서비스가 글로벌에서 성공하려면?
스위프토노믹스(Swiftonomics)의 시작은 '다름을 두려워하지 않는 전략(Swift was successful because she wasn’t afraid to do things differently)'
미국 엔터테인먼트 역사를 다시 쓰고 있는 테일러 스위프트. 영화(The ears tour)로 역대 공연 실황 영화 최고 흥행 기록 쓴데다, 직접 AMC에 배급에 나서면서 '새로운 유통' 모델도. 틱톡도 점령한 스위프트
뉴스 미디어가 진화한다. 광고에서 이벤트로(News media outlet evolves...from ads to events)..한국에선 통하지 않는다
팬데믹 이후 바뀐 언론사들의 수익 공식. "이벤트-구독-몰입-수익" 이벤트 생태계 한국 미디어들에게도 가능할까?
한양대학교, 예비 및 초기 창업팀을 위한 린밸류업 프로그램 2023 공개(Hanyang University unveils Lean ValueUp Program 2023 for prospective and early-stage startup teams)
한양대학교 창업지원단, 예비 및 초기창업 기업을 위한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2023 한양대학교 린밸류업 액셀러레이팅" 개최
미 동부에서 처음 열린 크리에이터 축제, 중심에는 AI(Creator Festival First Held in Eastern U.S. AI at the Center) Vidcon Baltimore
미국 동부에서 처음 열린 크리에이터 축제 비디콘 볼티모어 '크리에이터에겐 AI가 필요하지만, AI에 지배당하지 않으려면 노조를'
“테크놀로지를 통해 전달되는 인간의 창의성”은 인정 받을 수 있는가
미국 저작권 논란 다시 일어나. 미 컬럼비아 법원 AI생산 창작물 “저작권 인정” 불가. 인간 작가성(Human authorship)이 반영된 작품만 저작권 인정. 그러나 AI는 툴인가 조력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