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2024와 엔터, 미디어, 주요 세션 정리(Recapping CES2024, Entertainment, media, and key sessions)
오는 2024년 1월 9일부터 12일까지 열리는 CES2024,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미디어 이슈도 집중 소개. 이중 디지털 할리우드와 버라이어티 엔터테인먼트 서밋 가장 주목
게임 플랫폼이 되고 있는 넷플릭스
넷플릭스 게임 시장 진출 2년. 점점 안정화된 모습. 다운로드 숫자 늘어나고 IP기반 게임도 자리 잡아. 오징어게임 기반 넷플릭스 게임도 예고
세계인은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를 평균 17시간 봤다(The world watched an average of 17 hours of Korean dramas). 그러나 지나친 사랑은 독이다. (But over-immersion is a poison)
넷플릭스 2023년 상반기 시청률 전체 공개. 한국 콘텐츠 최고 선전. '더글로리' 시청 시간 기준 전체 3위. 한국어 이용 인구 확산도 한몫. 그러나 지나친 넷플릭스 의존도 우려
글로벌 1위 키즈 프로그램 코코멜론 제작사의 구조조정
유튜브와 넷플릭스 인기 애니메이션 코코멜론의 문버그 엔터테인먼트, 직원 5% 감원. 스트리밍 시대 각광받던 키즈 스튜디오의 충격적 구조조정. 애니메이션의 미래는?
"오리지널을 넘어 셀럽으로 스트리밍 3.0 시대 개막(Beyond Originals, Celebrity Kicks Off Third Generation Streaming)
미국 인기 보수 논객 터커 칼슨, 자신의 이름을 딴 연 72달러 스트리밍 서비스 런칭. 독점 인터뷰, 독백 등을 담을 계획. 오리지널에 이어 셀럽 스트리밍까지 이어지는 OTT시장
EU, 가짜뉴스 막는 AI법률 발의(EU proposes AI law to combat fake news)
EU, 가짜뉴스 막는 AI법률 발의. 글로벌 국가중에는 처음. 향후 가짜뉴스 유통 제한 등 글로벌 AI규제의 초안이 될 가능성이 높음
미국 선거 시장도 흔드는 FAST(Free Ad Supported Streaming TV (FAST) is shaking up the U.S. election advertising market)
2024년 미국 선거광고 시장, 160억 달러로 성장 예상. 그러나 성장한 선거 광고 시장은 지역 지상파 보다 FAST로 이동.. 변화하는 광고 시장 변화하는 미디어
마이너 서비스들의 최종 병기는 번들링?..티빙과 웨이브가 봐야 하는 글로벌 트렌드(Is Bundling the Final Weapon for Minority Services...Tving & Wavve and the Global Trends to Watch)
애플 TV+와 파라마운트+ 번들링 추진. 디즈니+와 흘루의 결합. 묶음 상품을 향해 달려가는 글로벌 마이너 스트리밍 서비스
제 3회 엔터테크 포럼 '한국어 교육과 K콘텐츠' 12월 15일 오후 4시(온라인)
'한국어 사용자가 늘어야 K콘텐츠도 산다". 한국어 교육의 최신 트렌드와 K콘텐츠를 소비하는 글로벌 오디언스의 분석 전달. 하와이대학과 다이렉트미디어랩 공동 '엔터테크 포럼'
모든 것을 원점에서 생각해야 하는 KBS와 TVB…감원과 자본잠식 위기의 아시아 대표 지상파 방송(Asia's leading PBS& TV Network facing layoffs and capital losses)
이사아 대표 지상파 KBS와 TVB 충격적 감원과 예상 적자. KBS "수신료 분리 징수로 3,400억 원의 적자 예상" TVB의 "300명 감원, 채널 감축" "시대정신을 읽지 못한 방송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