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크]NFT…부활의 중책은 ‘NFT티켓’에

레이싱 마니아들을 위한 멤버십 대체불가능한토큰(NFT) 프로젝트 크립토포뮬러(CRYPTO FORMULA)가 지난 7월 1일~10일 서울 여의도 더현대 쇼핑몰에서 전기차(EV) 레이싱카를 전시했다. 이 전시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였는데 경기 서킷에 있어야 할 경주차가 쇼핑몰에 있는지를 궁금해 했다. 이 자동차는는 세계적인 친환경 모터스포츠로 오는 8월 13일부터 14일 까지 한국 서울 잠실주경기장과 그 일대에서 개최되는  ‘SEOUL E-PRIX 2022’ 경주에 실제 출전한다.

그러나 크립토포뮬러의 목적은 레이싱카나 대회를 홍보하는 것이 아니었다.현장에서 크립토포뮬러는 ‘SEOUL E-PRIX 2022’의 혜택을 담은 크립토포뮬러 멤버십 NFT를 판매했다. 멤버십은 프리미엄과 베이직으로 구분된다. 프리미엄 멤버십 NFT는 SEOUL E-PRIX 대회 및 향후 각종 레이싱 대회의 특권을 누릴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진다. 2022년 프리미엄 멤버십은 SEOUL E-PRIX VVIP 티켓 2매, 특별 MD 굿즈가 포함된다. 레이싱 선수 카드 형태의 멤버십 NFT는 전세계적으로 1만 장만 팔리며 향후 이 회사가 구축할 메타버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대체불가능한토큰(NFT). 디지털 자산이지만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돼 개인의 소유가 기록되고 유통도 가능한 상품이다.  웹 3.0 시대, 메이저 미디어 회사와 엔터테인먼트 기업들도 NFT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대부분 자신들의 콘텐츠 IP를 이용, NFT를 만들고 유통하는 붐이 불었다. 미디어 기업의 NFT 시장 진출은 NFT의 근간인 블록체인 기술과 웹 3.0 비즈니스 환경을 대중적으로 만드는데 큰 공헌을 하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NFT준비 현황

[가상화폐와 동반 침체, NFT]

그러나 NFT는 성장  과도기에 돌입했다.  암호 화폐의 불안정성 때문이다. 암호화폐 가치의 급락은 NFT판매량도 동시 감소하고 있다.실제 NFT에 대한 일반 인식은 다소 극단적이다. 일부는 매우 가치 있는 고가의 이미지(Image)라고 생각하지만 일부는 완전한 사기나 파라이드 방식이라고 보고 있다.

비트코인 일일 시장 가치(마켓 밸류) 블룸버그


NFT의 거래량은 최근 줄어들고 있다. NTF 일일 거래 볼륨은 지난 2020년 2월 들어 급격히 줄었다. 가격 또한 떨어지기 시작했다. 2021년 말 평균 판매 가격이 6,900달러였는데 2022년 2월 2,000달러 미만까지 급감했다. 마찬가지로, 비트코인(Bitcoin)은 2021년 11월 최고치에서 2022년 5월 중순까지 50% 이상 폭락하는 등 암호 화폐 가격 역시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주 빌 게이츠(Bill Gates)도 최근 한 세미나(TechCrunch talk)에서 “NFT에 대한 광풍은 거대한 100% 어리석은 바보 이론(greater fool theory)에 근거한 것”이라며 “최고가 원숭이 디지털 사진(Bored Ape Yacht Club NFT collection)은 세상을 아마 무한대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지금이 가상 화폐의 빙하기인 클립토 윈터(crypto winter)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클립토 윈터는 가상자산 가격이 급락하고 시장에서 자금의 유출이 지속되는 기간을 부르는 말이다. 이 모든 사건들은 NFT에 대한 대중의 시각에 영향을 준다. 결국 영향은  ‘기술이 허용하는 가능성’들도 제한할 수 밖에 없다.

.

2021~2022 NFT 매출(버라이어티)

NFT는 개념적으로 소유권을 상세히 기록하는 블록체인 장부다. 어떻게 활용되는지는 개인, 기관, 크리에이터에 따라 다르다. 물론 규제를 담당하는 정부의 역할도 인식 개선을 위한 한 축이다.

불황속에서도 선전하는 NFT가 있다. 바로 노벨티(신기함, 가치 진기함, Novelty)를 담은 비이미지 NFT들이다. 아직은 이미지 NFT의 비중이 높지만 이미지가 아닌 가치를 주는 NFT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그 중 하나가 NFT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디지털 수집 카드다. 버라이어티는 “디지털 수집 카드를 유통하는  ‘파니니(Panini)에 따르면 크립토 슬램(CryptoSlam) 당 고정 통화 결제만 허용하는데 미국 달러 매출이 감소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디지털 카드 등 NFT디지털 수집품(Collectables) 시장도 침체를 겪고 있지만, 전체 거래량을 봤을 때, 감소세는 완만하다. 디지털 수집품에도 이미지 기반 상품이 많지만 티켓 등을 기반으로 한 상품의 안정성이 더 높다.

[NFT로 판매되는 버추얼 기념 티켓(Virtual Commemorative Ticket)]

비이미지 NFT의 또 다른 핵심은 ‘NFT티켓’이다. 버추얼 기념 티켓((Virtual Commemorative Ticket)으로도 불리는데 실제, 공연, 이벤트, 경기 등을 기반으로 NFT를 발행하는 것이다. 이벤트 이후 또 다른 온오프라인 참여 기회가 제공되기도하고 순서와 날짜, 소유권이 표시되는 티켓 자체가 의미있는 NFT로 완성되기도 한다. NFT티켓은 기존 개념에 효용성을 추가하며 새로운 부가가치가 생기는 NFT의 좋은 예다.

글로벌 NFT펀딩(버라이어티)

미국은 공연의 나라로도 부를 수 있다. 미 전역에서 콘서트, 뮤지컬, 경기가 연중 내내 열린다. 현재 이 공연계를 지배하고 있는 회사는 라이브 네이션 엔터테인먼트(Live Nation)다. 공연 기획 뿐만 아니라 자회사 티켓 마스터를 통해 예매 시장도 장악하고 있다. 티켓 마스터가 지배하고 있는 미국 공연 티켓 산업은 NFT를 만나면서 새로운 단계로 확장되고 있다. NFT 기술 도입은 엘로우하트와 새로운 기업도 탄생시켰다.  이들은 기존 질서를 파괴하며 공연자-팬, 공연장소 사이에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고 있다.

[신구 티켓 기업의 차별화된 NFT접근법]

전통 티켓과 새로운 티켓 사업자들은 웹 3.0 시장에서 다른 접근법을 구사하고 있다. 티켓 마스터와 라이브네이션 등 전통적인 공연기획사들은 스포츠 이벤트, 콘서트, 페스티벌 참석자들을 위한 버추얼 기념 티켓(virtual commemorative ticket)을 NFT로 제공하면서 주로 ‘공연 이후 애프터 이벤트’에 집중하고 있다. 공연 전이나 공연이 끝나고도 팬들과 호흡하기를 원하는 공연기획사들은 NFT를 통해 이들과 연결되고 있다. 그래서 많은 이벤트 기획사들이 공연이나 이벤트를 기념하는 가상 이벤트 티켓을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NFT티켓에 실제 티켓 좌석이 포함된 사례는 드물다.

NFL이 발행한 NFT


코인베이스는 10년 역사의 뉴욕 거버너스 볼 뮤직 페스티벌(Governors Ball Music Festival)에서 NFT 갤러리 경험, NFT형식의 한정판 콘서트 굿즈 등을 2021년  판매한 바 있다.

당시 코인베이스는 VIP라운지 접근 기회도 NFT로 제공했다.  NFT 버추얼 기념 티켓의 매력은 유일한 개인의 콘서트 기록이 담긴 디지털 수집품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나 아티스트의 이벤트를 NFT 버추얼 티켓 수집하고 친구들과 이를 나눌 수도 있다.

미국 라이브 공연의 1인자 라이브네이션의 경우 일반인들도 NFT 버추얼 기념 티켓을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구매 방법을 공지하고 있다.


이렇듯, 가상 티켓 판매 회사들은 NFT를 통해 완전히 색다른 경험을 만드는데 주력한다. NFT버추얼 티켓에 실제 공연 참여 티켓을 포함해 소장 가치를 더한 디지털 수집품의 기능에 집중하고 있다.

엘로우하트(YellowHeart)의 티켓은 NFT이지만 콘서트와 이벤트에 직접 입장할 수 있는 디지털 입장권으로도 기능한다. ‘NFT+실제 티켓’ 상품인 셈이다. 온오프라인 경험이 포함된 ‘하이브리드 티켓’으로도 볼 수 있다.

NFT 티켓 역시 분산 저장 기술 블록체인이 적용된다. 블록체인 기술 기반  NFT티켓에는 소유권 기록도 포함되기 때문에 복제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티켓 판매 회사들의 오랜 고민이었던 암표와 개인 간의 거래에서 나오는 불법 마진 등을 없애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특히, NFT티켓은 아티스트에게도 도움이 된다. 스마트계약(Smart contact) 기술이 포함된 NFT티켓은 모든 재판매 이익의 10%가 아티스트 및 행사장에 돌아간다.  또 NFT티켓 마켓의 경우 티켓의 재판매 거래량을 제한해 암표 판매상이 얻는 불법 이익도 줄일 수 있다.

NFT티켓은 또한 티켓 소유자와 이벤트 주최자에게도 무형의 추가 효용성을 약속한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Creator Economy)에서 ‘팬들과의 교감’, ‘참여도 유지’ 등에 긍정적이다. 라이브 네이션의 대표 마이클 라피노(Michael Rapino)는 2022년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Q1 2022 earnings call)에서 “NFT티켓 좌석은 소유자(팬들)와 지속적인 관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티켓 판매량도 늘릴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NFT 발행 현황


MGM리조트 인터내셔널(MGM Resorts International)의 디지털 프로덕트&디자인 우수성 담당 부사장(SVP of Digital Product & Design Excellence) 앤드류 마차도(Andrew Machado)도 버라이어티와의 인터뷰에서 “NFT는 행사 전후에 팬, 참여자와 아티스트 간 친밀도를 계속 제공하고 유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  실제 공연이나 이벤트가 끝난 뒤 벌어지는 NFT이벤트는 참여자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고 브랜드 인지도 확대에도 도움이 된다.  기업들에게는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이다. 기업들은 NFT티켓에 적용된 블록체인 기술로 기업들은 누가 최종 행사의 소비자이고 실제 이벤트 참여자인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는 행사장이나 스포츠 경기장을 자주 찾는 사람들에게 또 다른 혜택과 보상 등을 제공해 더 많은 팬들을 오래동안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다.  기업들은 이전에는 이메일 등을 통해 제공했던  단일 스페셜 이벤트나 식음료 크레딧을 다른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NFT티켓 소지자들에게는 이벤트 독점 콘텐츠, 행사를 넘어 참가자들의 참여 긴밀도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NFT티켓(NFT ticketing)은 기술(블록체인)에 실제 유용성과 실행성을 부여하는 것을 약속한다. NFT티켓의 이벤트는 지속적이며 장기적이다.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NFT 발행 현황


가장 중요한 것은 NFT티켓이 NFT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비싸거나 사기를 치는 디지털 예술품에서 생활에 긍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로 소비자들의 생각을 대체할 수 있다.

만약 이런 기능들이 제대로 작동한다면 향후 4년 뒤 북미에서 열릴 월드컵(World Cup)은 ‘NFT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미디어 기업들의 NFT 현황]

한편,  NFT 확산의 또 다른 동력은 뮤지션, 아티스트, 영화 제작자들의 현재 디지털 시장의 수익 배분 구조와 경제에 대한 불만족이다.

음악의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의 확산으로 레이블이 벌어들이는 수익이 크게 늘었지만,  대부분 창작자는 이 상황을 그냥 지켜봐야만 했다. 스트리밍 관련 로열티가 제대로 정립되거나 계산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음악 창작자, 공연가들은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으로 공연장이 폐쇄됐을 때 그들의 핵심 수익원(연주)을 잃었다.

그러나 NFT는 음악 아티스트들에게 잠재적으로 매력적인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다. NFT에서는 아티스트와 레코드 회사 간 이른바 ‘360도 거래(360 deals)’ 일부를 제외하고, 판매 권리(merchandising rights)는 일반적으로 연기자(performer)들이  보유하고 있다.  또 제품 판매로 벌어들이는 모든 수익은 아티스트에게 바로 흘러들어가게 되며 음반 레이블 회사나 출판사의 결제 시스템을 통하지 않는다.

아티스트들이 NFT에서 보다 많은 돈을 벌어들인다면 음반 산업의 왜곡된 구조를 바꿀 수 있다.  IFPI Global Music Report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아티스트들은 전체 음반 판매와 라이선싱에서 나오는 총 음악 산업 수익의 12%만 가지고 갔다.

인기 D.J.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는 2022년 2월 갈라 뮤직 이벤트(Gala Music event)에서 “지난 10년 간 음악 판매로 벌어들인 로열티보다 2021년 NFT 출시로 얻은 수익이 많다”고 말했다. 아오키는 “10년 간 6개의 앨범을 만들고 다양한 음악을 창작해왔다.”며 “ NFT는 아티스트를 통합하고 지원하는데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고, 음반사들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음악 아티스트들이 NFT에서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이유는 다름 아닌 ‘스마트 계약’ 때문이다. 모든 재판매 거래 수익액의 10% 정도가 창작자에게 계속 돌아간다.

또  NFT의 경우 라이브 쇼나 아티스트와의 가상 만남과 같은 제품과 특전이 포함되는데 현재 음반 거래에서는 얻을 수 없는 수익이다. 아울러 NFT는 크리에이터와 팬들을 이어지게 만들어 준다. 특정 아티스트를 후원하는 팬들에게도 NFT구매는 직접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크리에이터를 도와줄 수 있는 계기가 된다.

2021년 글로벌 음반 음악 시장 부문별 비율(버라이어티)



NFT를 통해 팬과 크리에이터 간 교감을 높여 팬의 지속적인 후원과 팬들만을 위한 독점 콘텐츠 제작도 가능하게 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셈이다. 전통적인 콘텐츠 유통, 홍보 시스템에도 이런 생태계가 존재했지만 팬클럽과 같은 사적 조직이어서 확장성과 생명력이 길지 않았다.

영화 제작의 경우 NFT가 크라우드 펀딩(crowdfunding)의 새로운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NFT를 발행해 콘텐츠 제작비를 조달하는 방식이다. 무비코인(Moviecoin), 무굴 프로덕션(Mogul Productions), 디센트럴라이즈드 픽처스(Decentralized Pictures) 등의 스타트업은 NFT스타일 크립토 토큰을 발행해 영화 제작자들이 제작비를 모금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암호화폐 토큰에 투자하는 이들에게는 완성된 영화의 소액 지분을 준다. 일부 NFT에는 영화 제작이나 유통의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도 제공된다.

DJ 3LAU(본명 Justin Blau)는 토큰 플랫폼  ‘로얄(Royal)’을 런칭, 팬들이 아티스트 작품의 로열티 수입에 대한 지분을 살 수 있는 NFT를 발행했다. NFT구매를 통해 팬들은 아티스트의 작품 개발과 경력 발전에 대한 지분을 받을 수 있다. 플랫폼 런칭을 위해 3LAU는 2021년 5,500만 달러(715억 원)을 투자 받았다. 투자자 중에는 힙합 레전드 체인스모커 The Chainsmokers도 포함되어 있다.

메이저 음악 레이블 회사와 할리우드 영화 스튜디오들도 NFT에 뛰어들고 있다. 워너 뮤직 그룹(Warner Music Group)은 NFT에 투자하고 대퍼랩스(Dapper Labs), 블록파티(Blockparty), 지니스(Genies), 원오프(OneOf) 등 NFT 관련 개발 회사들과 협업 관계를 맺었다. 또 유니버설 뮤직 그룹은 큐리오(Curio), 스노우 크래시(Snowcrash), 빌보드 매거진 등 NFT 거래 플랫폼과도 NFT 제휴를 시작했다.

소니뮤직 또한 NFT에 적극적이다. 스노우크래시와 파트너십을 맺었고 메이커스플레이스(MakersPlace)가 주관한 3,000만 달러 투자금 모집에 참여했다.  할리우드 스튜디오의 경우 디즈니(Disney),워너브러더스(Warner Bros), 파라마운트(Paramount) 등이 이미 그들의 영화, TV프랜차이즈,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NFT 발행과 판매를 시작했다.

[NFT 확장 위해선 ‘법적 안정성’ 필요]

NFT가 미디어 기업들의 현재 비즈니스 모델을 추가하는 수준 이상으로 성장하려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난제들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안정성이다. 지금 NFT 시장은 상당한 사기들로 가득차 있다. 많은 비주얼 아티스들은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작품들이  NFT로 만들어지고 판매되는 것을 발견했다.

2022년 2월 음악 NFT 마켓 플레이스 힛피스(HitPiece)는 유튜브, 사운드크라우드(SoundCloud) 등의 플랫폼에서 음악이 도용돼 NFT로 판매되는 것을 발견했다. 물론 아티스트나 작곡자들의 허락을 받지 않은 개발이다.  글로벌 최대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시(Opensea)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만들어진 NFT의 80%는 사기이거나 위조된 작품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프레이더(DappRadar)도 대략 전체 2021년 NFT거래의 8%가 해킹되고 악용, 혹은 나쁜 의도와 연관이 됐다”고 설명했다.

대형 NFT 사건 사고 10위(버라이어티)



디파이일드(DEFIYIELD)의 레키트 데이터베이스(Rekt database)는  2021년  NFT에 대한 161번의 사이버공격이 발생해 총 19억 달러(2조 4,700억 원)가 공중으로 분해됐다고 밝혔다. 2022년에는  3월 6억 달러 규모 로닌(Ronin) 절도를 포함, 대형 절도 사건 5건 중 3건이 발생했다.

NFT권리를 둘러싼 다른 논쟁들도 벌어지고 있다. 2021년 12월, 미라맥스(MiraMax)는 유명 영화 감독 타란티노(Tarantino)에게 소송을 제기했다. 타란티노가 자신이 감독한 1984년 영화 ‘펄프 픽션(Pulp Fiction)’ 당시 사용했던 오리지널 필사 대본 등을 NFT로 임의대로 발행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미라맥스는 자신들이 각본의 모든 저작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쿠엔티 타란티노의 NFT

이외 기존 질서와 다른 NFT경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 거래래의 신뢰성과 익명 거래의 문제점은 NFT 경제 발전의 걸림돌이다. 결국 NFT경제는 기존 저작권의 독점성을 바탕으로 구축된 경제와의 호환성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미국 규제 당국도 나서고 있다. 버라이어티는 미국 연방 증권거래위원회(The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는 암호 화폐 투자를 보호하고 2022년 5월 발생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는 조직에 20여 개의 추가 자리를 만들어 NFT 크리에이터들과 마켓 플레이스가 미국 증권법에 잠재적인 위반이 되는 지를 검토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SEC의 암호화폐 자산과 사이버 부문(Crypto Assets and Cyber Unit)은 부분 투자 NFT(fractional NFTs)에는 필수 등록과 적용 가능한 규정을 준수해야하는 일종의 보안 장치를 도입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탈중심화라는 웹 3.0의 트렌드와는 반대로, 현재 NFT 시장은 암호화폐 안에서 상당히 중앙집권화되어 있다.  블록체인 리서치 회사 체인애널시스(Chainalysis)는 버라이어티와의 기사에서 2021년 2월에서 11월 사이 존재하는  NFT 270만 개는 36만 명이 소유하고 있다. 이는 전체 암호 화폐 보유자의 0.1%에 불과하다.

결국, 웹 3.0 스트럭처 출현에 대한 NFT의 상당한 기여는 기본 블록체인 기술의 추가 개발에 도움을 주는 투자다. NFT로부터 벌어들인 수익을 다시 재투자하는 구조 속에 블록체인 생태계는 강해질 수 있다. 과거 웹 1.0시대에서 웹 2.0시대(2000년 대)로 넘어갈 당시, 많은 기업들이 몰락했지만 이들이 남겨놓은 자산과 기술이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것과 마찬가지다. 웹 2.0의 핵심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Information)의 중앙 집권화와 인터랙티브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유료 구독 프리미엄 독자들에게는 글로벌 미디어 관련 뉴스레터, 월간 트렌드 보고서, 독점 비디오 콘텐츠, 타깃 컨설팅요청시)이 제공됩니다.

스트리밍 비즈니스, 뉴스 콘텐츠 포맷,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할리우드와 테크놀로지의 만남 등의 트렌드를 가장 빠르고 깊게 전합니다. 학자보다는 빠르게 기자보다는 깊게'는 미디어의 사명입니다.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인사이트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