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뉴스의 일반화(Americans flock to TikTok for news)
뉴스 소비 플랫폼으로 틱톡 급성장. 미국 성인 최근 3년 내 틱톡에서 뉴스 보는 비중. 255%(30세 이하) 늘어. 링크드인은 기업 뉴스 시장 장악. 페이스북은 퇴조
Wemade participated in G-STAR 2023 with the theme of ‘Life is Game: Omnichain Gaming’.
Korea's largest game show, G-Star 2023, is now open. Wemade participated as the main sponsor with the theme of ‘Life is Game: Omnichain Gaming’.
넷플릭스에게는 ‘스포츠’도 오리지널이다(For Netflix, "Sports" is also an original)
스포츠 중계에 다가가고 있는 넷플릭스. NBA 중계권 거래 만지작. 오리지널 관점에서 스포츠 중계에 접근하고 있는 넷플릭스
알트먼, 오픈AI에서 쫓겨나다. 오픈AI의 상업화에 대한 이견이 결정적(Sam Altman, the father of AI, is kicked out of OpenAI. disagreement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OpenAI)
챗GPT의 개발사 오픈AI 창업주 샘 알트만, 회사에서 급작스럽게 퇴출. 이회사는 "알트만이 신뢰를 잃었다고 밝표". 디인포메이션은 알트만이 새로운 벤처를 런칭할 것이라고 보도
경기 악화…계속 되는 미국의 미디어 정리해고
경기 불확실성 늘어나는 가운데 정리해고도 여전히 진행 중. 특히 전통 미디어들의 광고 매출 급감으로 영향 더 많아
바벤하이머도 살리지 못한 AMC…하나의 영화는 극장을 구하지 못한다(Babenheimer couldn't save AMC ...one movie can't save a theater)
세계 1위 극장 체인 AMC, 바비와 오펜하이머로 역대 최대 3분기 매출 달성. 그러나 부채로 인해 이익은 크게 감소..바벤하이머도 구하지 못한 AMC
할리우드 더블 파업 종료 후 K콘텐츠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What should K-content studios prepare for after the end of the Hollywood double strike?)
할리우드 파업 종료 이후 달라질 콘텐츠 세상. 한국 스튜디오에는 기회이자 위기. K콘텐츠의 미래를 위해선 "드라마"보다 "버라이어티"를 ?
디즈니+와 훌루의 결합…넷플릭스와 코코와의 위기?(Disney+ and Hulu combine...a crisis for Netflix and kocowa+)?
디즈니, 2023년 말 디즈니+훌루 통합앱 베타 버전 출시. 가입자 규모와 장르 측면에서 넷플릭스와 경쟁 본격화. 최근 훌루의 한국 콘텐츠 사랑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 플랫폼에도 영향
AI와 할리우드, "배우와 작가 조합은 어떻게 AI를 품었나?"(AI and Hollywood, "How Did the Actors and Writers Guild Embrace AI?")
할리우드 더블 파업 종료. 이제 AI와 동거하는 시대의 개막
CBS뉴스, AI조작을 검증하는 포렌식 기자를 찾습니다(CBS News hires 'forensic journalist' to verify AI manipulation
CBS뉴스, 생성AI를 악용한 오남용 정보 검증하는 조직 'CBS News Confirmed' 신설. 이를 검증하는 포렌식 기자도 뽑고. 방송에도 반영. 뉴스테크놀로지로 올인하는 CBS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