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TikTok 금지 시한이 또다시 연장되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5일, 틱톡(TikTok)의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ByteDance)에 대한 미국 내 사업 매각 시한을 추가로 75일 연기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새로운 법 시행일은 6월 18일로 조정되었다. 트럼프 대통령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TikTok을 구하기 위한 협상이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모든 승인 절차를 마치기 위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초당적 법안인 「외국 적대세력 통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미국인을 보호하기 위한 법(Protecting Americans from Foreign Adversary Controlled Applications Act)」에 따른 것으로, 바이트댄스가 미국 내 TikTok 사업을 비중국계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TikTok은 미국에서 운영 금지된다. 법안은 TikTok이 중국 당국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안보 위협으로 간주하였다.
트럼프는 1월 집권 직후 한 차례 금지 시한을 연기한 데 이어 이번이 두 번째 연장이다. 그러나 해당 법안은 대통령이 단독으로 시한을 연장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어, 법적 권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협상 진행 중임을 강조하며 행정명령을 통해 집행을 유예하고 있다.
거래는 미국 내 투자자들이 지분 80%를 보유하고 바이트댄스가 최대 20% 이하의 소수 지분만 유지하는 구조로 추진되고 있다. 오라클(Oracle), 블랙록(BlackRock), 아마존(Amazon),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등 주요 기업과 벤처캐피탈이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 최대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MrBeast, 레딧 공동창업자 알렉시스 오해니언, OnlyFans 창립자 팀 스톡클리까지 인수전에 가세한 것으로 전해진다.
Statista에 따르면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TIKTOK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2025년 2월 기준, 미국이 1억 3,579만 명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인도네시아(1억 777만 명)와 브라질(9,175만 명)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미국 인구(약 3억 3천만 명)의 41%가 틱톡을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이용시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분석 기관인 디멘드세이지(DemandSage)에 따르면, TIKTOK 사용자는 하루 평균 58~60분 정도 TIKTOK에 머무른다. 이는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 숏츠 등 경쟁 서비스 보다 사용 집중도가 더 높은 것이다.
글로벌 기준으로 가장 큰 소셜 네트워크 앱은 페이스북으로 MAU(월간 활성 사용자)가 30억 7천만 명이다. TIKTOK은 15억 9,000만 명으로 전체 앱 중 5번째 이지만, 중국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TIKTOK의 중국판 Douyin(더우인) 이용자까지 합하면 23억 5,600만 명으로 글로벌 3위로 올라선다. 미국 내에서 TIKTOK이 없어 진다며 이용자가 다른 서비스로 이주하고 했고, 실제로 앱 다운로드 서비스가 중단되기도 했지만, TIKTOK의 영향력은 줄어들지 않고 있는 셈이다.

TIKTOK 매각의 또 다른 난관은 중국 정부의 승인 여부이다. 그동안 바이트댄스는 TIKTOK의 핵심 알고리즘을 포함한 매각에는 반대 입장을 보여 왔다. 핵심 기술을 넘겨줄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중국에 대한 34% 관세를 발표하자, TIKTOK은 매각 협상에서 한걸음 물러섰다. 중국 정부가 미국의 추가 관세 철회 없이는 TIKTOK의 매각을 승인할 수 없다고 했기 때문이다.
이제 TIKTOK 매각 협상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으로 변질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TIKTOK 문제를 미중 간 관세 협상의 일부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트루스소셜에서 올린 글에서 "상호 관세는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한 가장 강력한 경제 수단"이라고 밝히자, TikTok의 문제가 '국가안보' 이슈에서 '정치적 협상 카드'로 전환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에 정치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국 민주당 마크 워너 상원의원은 "이는 법률에 위배되며, 국가 안보를 저해할 수 있다"면서 이번 2차 연장이 '법의 허용 범위를 넘어선 것'이라 비판했다. 앞서 3월에는 공화당 소속의 중국 대응 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존 물레나르 하원의원은 "ByteDance가 TIKTOK의 기술이나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는 어떠한 거래에도 반대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번 연장으로 최소한 75일간은 TikTok이 미국에서 당장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은 없어졌다. 하지만 TIKTOK 미중 경제전쟁의 희생양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오는 6월 이후 미국에서 TIKTOK의 운명이 어떻게 될 것인지, 나아가 미국 소셜 미디어 시장 전반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