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g in
  • 구독하기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김지영

김지영

디즈니 플러스와 훌루(hulu)는 찰떡 궁합.. 성공적인 번들링 서비스
스트리밍&소셜

디즈니 플러스와 훌루(hulu)는 찰떡 궁합.. 성공적인 번들링 서비스

2024년 스트리밍 서비스 광고 점유율 1위는 hulu가 차지했다. TV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미국 TVision에 따르면, 디즈니 그룹의 hulu가 광고점유율 13%를 기록하면서 유튜브(11%)를 제치고 광고 시간 점유율이 가장 높은 스트리밍 서비스로 나타났다. hulu의 4분기 광고 시간 점유율은 1분기에 비해서 20%나 증가됐다.

by김지영
Amazon MX Player, 강력한 무료 콘텐츠 플랫폼의 공습
스트리밍&소셜

Amazon MX Player, 강력한 무료 콘텐츠 플랫폼의 공습

mazon MX Player가 2025년 라인업을 대대적으로 발표하며 인도 스트리밍 시장 공략에 나섰다. 지난해 10월, 아마존 인디아는 Times Internet 소유의 MX Player를 인수 후 Amazon miniTV와 통합하여 새로운 광고형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AVOD)인 ‘Amazon MX Player’를 출범시켰다. Amazon은 지난 1월 31일 MX Player의 2025년 라인업을 대대적으로 발표하며 인도 내 무료 스트리밍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야심을 드러냈다.

by김지영
오겜2를 제친 XO KITTY 2..글로벌 시청자는 한국이 궁금해
TV/OTT 콘텐츠

오겜2를 제친 XO KITTY 2..글로벌 시청자는 한국이 궁금해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엑스오,키티 (XO, Kitty) 2가 <오징어 게임 2>를 제치고 글로벌 TV 쇼 부문 1위를 자치했다. 지난해 12월 28일부터 이달 16일까지, 22일간 넷플릭스 글로벌 TV 쇼 부문에서 1위를 지켜온 오징어 게임 2의 독주를 막은 주인공은 엑스오, 키티 2다. 엑스오 키티는 넷플릭스의 하이틴 영화 '내가 사랑했던 모든 남자들에게'의 스핀오프 작품으로 2023년 5월, 시즌 1에 이어 1년 6개월만에 시즌 2를 선보였다.

by김지영
넷플릭스에 오징어게임이 있다면, 아마존엔 비스트 게임이 있다
TV/OTT 콘텐츠

넷플릭스에 오징어게임이 있다면, 아마존엔 비스트 게임이 있다

리얼리티 쇼 ‘비스트 게임(Beast Games)’이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1위 콘텐츠에 오르면서 서바이벌 장르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달 26일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게임 시즌2’가 전 세계적으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비스트 게임(Beast Games)’도 인기 대열에 합류 했다.

by김지영
오징어게임 2의 신기록 도전.... 순항 중
TV/OTT 콘텐츠

오징어게임 2의 신기록 도전.... 순항 중

넷플릭스의 오징어게임 시즌 2가 공개된 지 단 11일 만에 1억 2,620만 뷰를 기록하며 넷플릭스 역사상 비영어권 시리즈 중 두 번째로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다.‌‌‌‌시즌2의 기록은 시즌 1에 이어 비영어권 콘텐츠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고 있다.

by김지영
2024년 12월 'OTT HOT 콘텐츠'
TV/OTT 콘텐츠

2024년 12월 'OTT HOT 콘텐츠'

12월에 글로벌 시청자들이 가장 많이 본 스트리밍 콘텐츠(TV Show 부문) 1위에 넷플릭스 '블랙 도브(Black Doves)', 디즈니+ '스타워즈: 스켈레톤 크루(Skeleton Crew)', 맥스(Max)에 '듄: 프로퍼시(DUNE: Prophecy)', 아마존 프라임에 '사랑보다 아름다운 유혹(Cruel Intentions)'이 차지했다.

by김지영
11월 'OTT Hot 콘텐츠' 정리
TV/OTT 콘텐츠

11월 'OTT Hot 콘텐츠' 정리

11월에 글로벌 시청자들이 가장 많이 본 스트리밍 콘텐츠(TV Show 부문) 1위는 넷플릭스 '아케인(Arcane)', 디즈니+ '아가타 올 어롱(Agatha All Along)', MAX '더 펭퀸(The Penguin),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반지의 제왕: 힘의 반지(The Lord of the Rings: The Rings of Power)'가 각각 차지했다. 4대 주요 스트리밍 플랫폼 모두 오리지널 콘텐츠가 1위를 차지하며 오리지널 콘텐츠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by김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