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X, 구독자 1억 2,230만 명 확보…WBD 매출은 27% 하(WBD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스트리밍 성장세 지속… 전통 TV 하락세 속 WBD의 실적 반전 전략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Warner Bros. Discovery, 이하 WBD)가 2025년 1분기에만 530만 명의 신규 가입자를 유치해, 총 글로벌 구독자 1억 2,230만 명을 확보했다.

WBD는 어제 5월 8일(미국 현지 시간)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는 MAX의 구독자가 전 분기 1억 1,690만 명에서 1억 2,230만 명으로 대폭 증가하고, 스트리밍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스트리밍이 회사 실적의 핵심 성장 동력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MAX의 글로벌 확장은 이번 분기에도 핵심 전략으로 작동했다. 특히 광고 기반 요금제(Ad-lite) 확대로 인해 스트리밍 광고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35% 급증한 2억 3,700만 달러(약 3,200억 원)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스트리밍 부문 전체 매출은 8% 증가한 26억 5,600만 달러(약 3조 5,856억 원), 영업이익(Adjusted EBITDA)은 3.9배 증가한 3억 3,900만 달러(약 4,577억 원)를 달성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이어갔다.

다만 평균 가입자당 매출(ARPU)은 글로벌 기준 7.11달러(약 9,600원)로 전분기(7.44달러) 대비 다소 하락했다. 특히 미국 내 ARPU가 전 분기 11.77달러에서 11.15달러로 5.3% 감소했다. 이처럼 글로벌과 미국에서의 ARPU의 하락은 광고 요금제 위주의 가입자 증가와 호주 등 해외 시장에서 론칭 확대가 혼합된 결과로 해석된다.

프리미엄 콘텐츠 전략과 IP 다변화… Max의 차별화 전략

WBD는 주주서한을 통해 스트리밍 플랫폼 Max가 '품질 중심의 콘텐츠' 전략을 통해 경쟁사 대비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사례로 HBO 오리지널 드라마 '화이트 로투스(The White Lotus) 시즌3'를 꼽았다. '화이트 로투스 시즌 3'는 에피소드당 평균 2,500만 명의 글로벌 시청자를 기록하며 시즌2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신규 의학 드라마 '더 핏(The Pitt)' 역시 시즌1의 15개 에피소드 전체에서 평균 1,200만 명의 시청자를 끌어모으며 시즌2 제작이 확정되었다.

이 같은 콘텐츠의 성공에 힘입어 WBD의 스트리밍 부문은 1분기에만 3억 3,900만 달러(약 4,577억 원)의 영업이익(EBITDA)을 기록했으며, 2025년 연간 목표는 13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는 THE WHITE LOTUS와 THE PITT
(출처 : WBD PRESSROOM)

WBD는 오리지널 콘텐츠 강화와 함께 글로벌 콘텐츠 포트폴리오도 확장하고 있다. '펭귄(The Penguin)', '하우스 오브 더 드래곤(House of the Dragon)', '잇:웰컴 투 데리(It: Welcome to Derry),'랜턴스(Lanterns)'  등 기존 IP를 기반으로 한 시리즈 외에도, 멕시코의 'Like Water for Chocolate', 브라질의 'Scars of Beauty', 폴란드의 'The Eastern Gate', 스페인의 'When No One Sees Us' 등 비영어권 오리지널 콘텐츠도 호평을 받고 있다. 또한 멕시코와 브라질에서는 UEFA 챔피언스리그 생중계도 Max 플랫폼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스포츠 콘텐츠의 시청률도 확대되고 있다.

Max는 구독자 확대 전략도 병행 중이다. 미국에서는 계정 공유를 제한하는 정책 시행에 맞춰, 추가 사용자 1명을 월 $7.99에 등록할 수 있는 ‘Extra Member Add-On’ 기능과 프로필 이전 기능을 론칭했다.

스튜디오 매출 18% 감소, 수익은 41% 증가

스튜디오 부문은 영화 흥행 부재와 게임 신작 부재로 인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8억 2,100만 달러(약 3조 8,084억 원)에서 23억 1,400만 달러(약 3조 1,239억 원)로 18% 감소했다. 특히 '듄: 파트2(Dune: Part Two)'와 '고질라 X 콩(Godzilla x Kong)' 등의 전년도 히트작의 반사 이익이 사라졌다. 게임 부문도 전년 '수어사이드 스쿼드'에 비해 신작이 부재한 영향이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텐츠 제작 비용 감소, 참여자 수익 분배 축소 등 비용 구조 조정을 통해 스튜디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2억 5,900만 달러(약 3,496억 원)를 기록해 수익성 측면에선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2분기에는 영화 '마인크래프트 무비(Minecraft Movie)'의 대박으로 실적 반등도 기대된다. '마인크래프트 무비'는 전 세계적으로 약 9억 달러(약 12.1조 원)의 수익을 올리면서 2025년 최고의 흥행작에 올랐다.

(출처 : warnerbros.com/movies)

전통 TV 하락세 지속… 광고·가입자 모두 감소

방송(Linear TV) 부문은 유료 방송 가입자 감소와 광고 매출 하락으로 고전하고 있다. 전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한 47억 7,400만 달러(약 6조 4,449억 원)를 기록했으며, 광고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17억 5,800만 달러(약 2조 3,733억 원)로 떨어졌다. 미국 내 네트워크 시청률이 27% 급감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광고 수익은 전분기 대비 5% 향상된 수치이며, 영업이익(EBITDA)도 17억 9,300만 달러(약 2조 4,205억 원)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미국 내 스포츠 콘텐츠 강세와 더불어 유럽 지역, 특히 폴란드와 이탈리아의 무료채널 성과 덕분이다. 현재 유럽과 중동·아프리카 지역(EMEA)에서는 무료채널 기반으로 광고 수익이 확대되면서 WBD 방송부문 전체 광고 수익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배급 측면에서는 미국 내 유료방송 가입자 수가 9% 감소한 반면, 국내 제휴 요율이 2% 인상되어 일정 부분 보완되었다. 특히 스트리밍과 전통 방송을 통합한 패키지 계약이 국제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 모델로 작동하고 있으며, 5개 분기 연속 긍정적인 국제 배급 수익 성장을 기록 중이다.

2분기에는 프랑스오픈과 NASCAR 중계가 TNT Sports 채널을 통해 시작되며, 기존 NBA 중계권 종료에 따른 스포츠 비용 재편이 예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콘텐츠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중장기적으로는 스포츠 콘텐츠의 수익성 구조 개선이 예상된다.

구조 재편·채무 조기상환… 재무 안정성과 옵션 확보 병행

WBD는 올해부터 기존 사업 구조를 ‘스트리밍·스튜디오’와 ‘글로벌 네트워크’로 이원화했다. 이는 구조적 유연성을 확보하고, 향후 네트워크 부문의 분사 가능성까지 염두에 둔 전략으로 보인다.

WBD는 2025년 1분기 중 22억 달러(약 2조 9,700억 원)의 채무를 조기 상환하고, 15억 달러(약 2조 250억 원) 규모의 채권을 1년 단기 대출로 교체하며 연간 이자 비용 절감을 유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총 현금 보유액은 40억 달러(약 5조 4,000억 원), 부채는 380억 달러(약 51조 3,000억 원), 순차입금 대비 조정 EBITDA 배수는 3.8배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다.

스트리밍 중심 성장 가속... 수익성과 유연성 동시 확보

이번 1분기 실적은 WBD가 스트리밍 중심의 고수익 구조를 본격적으로 안착시키는 한편, 스튜디오와 전통 방송 부문에서도 유연한 비용 관리와 구조 재편을 통해 실질적인 수익 개선에 성공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Max를 통한 글로벌 콘텐츠 확장과 차별화된 오리지널 전략은 향후 플랫폼 경쟁력의 핵심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WBD는 2025년 남은 기간 동안에도 콘텐츠 투자와 시장 다변화, 비용 효율화를 병행하며 장기적 수익성과 주주가치 제고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구분 2024년 4분기 2025년 1분기 변화율 비고
총매출 10.34B 8.98B -13.1% 계절성 영향으로 감소
영업이익(Adjusted EBITDA) 2.58B 2.11B -18.2% 콘텐츠 투자 조절
순손실 -494M -453M 개선(↓) 적자폭 축소
영업활동 현금흐름 1.36B 553M -59.3% 시즌성 감소
자유현금흐름(FCF) 866M 302M -65.1% 콘텐츠 투자 증가 영향
스트리밍 매출 2.66B 2.66B 동일 소폭 증가 유지
스트리밍 영업이익 409M 339M -17.1% 전분기 대비 감소
글로벌 구독자 수 116.9M 122.3M +4.6M 글로벌 확장 지속



(※ WBD 1Q 2025의 실적 자료는 인사이트 스토어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유료 구독 프리미엄 독자들에게는 글로벌 미디어 관련 뉴스레터, 월간 트렌드 보고서, 독점 비디오 콘텐츠, 타깃 컨설팅(요청시)이 제공됩니다.

스트리밍 비즈니스, 뉴스 콘텐츠 포맷,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할리우드와 테크놀로지의 만남 등의 트렌드를 가장 빠르고 깊게 전합니다. '학자보다는 빠르게 기자보다는 깊게'는 미디어의 사명입니다.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인사이트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