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회 다이렉트미디어랩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 개최
안녕하세요. 다이렉트미디어랩입니다. 제1회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에 보내주신 많은 관심에 힘입어, 제 2회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방송, 미디어 산업에 관심을 가진 대학(원)생 여러분들의 창의적인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안녕하세요. 다이렉트미디어랩입니다. 제1회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에 보내주신 많은 관심에 힘입어, 제 2회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방송, 미디어 산업에 관심을 가진 대학(원)생 여러분들의 창의적인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안녕하세요. 다이렉트미디어랩입니다. 제1회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에 보내주신 많은 관심에 힘입어, 제 2회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방송, 미디어 산업에 관심을 가진 대학(원)생 여러분들의 창의적인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미국 유료방송의 심장, 케이블TV 산업이 빠르게 해체되고 있다. 2013년 1억 명을 넘던 미국 케이블TV 가입자는 2025년 6,610만 명으로 급감했고, ‘코드커팅’과 ‘코드네버’ 현상이 일상화되었다. 거실에서 케이블 리모컨을 찾기 어려운 시대, 산업은 어디로 향하고 있을까? 다이렉트미디어랩이 발간한 『미국 케이블TV 2025, 변화와 미래 전략』은 스트리밍 전환기 속에서 미국 케이블TV 업계가 어떤 선택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전략이 어떤 미래를 지향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전문 리포트다.
2025년 4월, 미국 TV 시청 시간 중 스트리밍이 차지하는 비중이 3개월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4월 스트리밍 시청 시간은 전체 TV 시청 시간의 44.3%를 차지하였으며 지난 3월보다 0.5%p, 1월보다 1.7%p 증가했다. 특히 이번 4월의 통계는, 닐슨이 2023년 11월 닐슨부터 스트리밍, 방송 시청률 데이터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전월과 기업별 순위가 처음으로 변동이 없었던 달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우수상 수상작 작품 명 : 양산형 쇼츠도 창작인가? – 유튜브 매출 상승 속 사라지는 창작의 가치 글쓴이 : 정민주(성신여대), 이정원(성신여대)
우수상 수상작 작품 명 : AI 아나운서 등장, 규제는 부재글쓴이 : 안나영 (성균관대)
우수상 수상작 작품 명 : FAST 플랫폼의 성공적인 국내 도입을 위한 핵심 전략 글쓴이 : 임재영(한국외대), 김민주(한국외대)
우수상 수상작 작품 명 : 선택의 진정한 의미 글쓴이 : 표세현(부산대)
작품 명 : 같은 넷플릭스, 다른 경험: 콘텐츠 차별화 전략글쓴이 : 김보현(강남대), 양윤서(이화여대), 김혜원(한국외대), 김태연(한국외대)
안녕하세요, 다이렉트미디어랩입니다. 저희 미디어·엔터테크 연구소 다이렉트미디어랩에서는 전국의 대학(원)생들의 방송 및 미디어 산업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관점을 듣고자, 제 1회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을 개최하였습니다. 1차 심사는 다이렉트미디어랩 내부의 블라인드 심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총 14편의 작품이 최종 심사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후 외부 미디어 전문가 3인의 블라인드 심사를 거쳐 최종 6편의 수상작이 선정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다이렉트미디어랩입니다. 제 1회 다이렉트미디어랩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방송·미디어 산업에 대한 대학(원)생 여러분들의 참신하고 깊이 있는 생각들을 접할 수 있어 매우 뜻깊고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공모전에는 14개 팀과 29명의 개인 참가자가 지원하여 총 43건의 다양한 주제의 에세이가 접수되었습니다.
미디어, 엔터테크 연구소 다이렉트미디어랩에서 제 1회 방송·미디어 에세이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방송·미디어 산업에 관심을 가진 대학(원)생 여러분들의 창의적인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공모주제 1. 방송·미디어 산업과 엔터테크 2. 방송산업(콘텐츠, 플랫폼 등)의 현재와 미래 3. 스트리밍 (OTT) 분석 (SVOD, AVOD, FAST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