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g in
  • 구독하기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Blog

[Data인싸] 2025년 1분기 팟캐스트 TOP 50 IN US
DATA 인싸

[Data인싸] 2025년 1분기 팟캐스트 TOP 50 IN US

2025년 1분기 미국 팟캐스트를 분석했다. 상위 6개 프로그램은 순위 변화 없이 강력한 청취 기반을 유지하고 있었다. 10위 권 내에서는 정치·사회 이슈 중심의 ‘This American Life’와 켈시 형제의 스포츠·코미디 ‘New Heights’가 상승을 했다. 11위~20위에서는 자기계발·코미디·보수 정치 콘텐츠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by김지영
AMC Networks·AMC Theatres 2025년 1분기 실적 급감… 전통 미디어와 극장 산업 구조적 위기
플랫폼&정책

AMC Networks·AMC Theatres 2025년 1분기 실적 급감… 전통 미디어와 극장 산업 구조적 위기

AMC Networks의 2025년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60.6% 급감하고, 극장 부문인 AMC 시어터스(Theatres)의 순손실도 전년 대비 23.6% 악화되는 등 최악의 2025년 1분기 실적을 나타냈다. 미국의 방송·극장 콘텐츠 그룹인 AMC가 지난 7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AMC의 양대 계열사 AMC Networks와 AMC Theatres가 나란히 실적 악화를 겪었다. 이는 전통 방송(Linear TV)과 극장 산업의 구조적 침체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by데이비드 임
파라마운트 글로벌,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파라마운트+ 150만 구독자 증가, 매출 16% 증가
플랫폼&정책

파라마운트 글로벌,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파라마운트+ 150만 구독자 증가, 매출 16% 증가

파라마운트+가 1분기 150만 구독자가 증가해 총 구독자 7,900만을 기록했다. 구독자 증가에 따라 매출도 16% 증가한 15억 7,000만 달러(약 2조 2,100억 원)를 기록하면서 스트리밍 부문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파라마운트 글로벌(Paramount Global)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스트리밍 부문 파라마운트+(Paramount+)의 성장세를 중심으로 수익성과 이용 지표 모두에서 개선된 흐름을 나타냈다. 특히 파라마운트+의 성장이 돋보였다.

byHONG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WBD) 1분기 실적 발표…MAX,  구독자 1억 2230만 명 확보, 매출은 27% 하락
플랫폼&정책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WBD) 1분기 실적 발표…MAX, 구독자 1억 2230만 명 확보, 매출은 27% 하락

WBD는 어제 5월 8일(미국 현지 시간)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는 MAX의 구독자가 전 분기 1억 1,690만 명에서 1억 2,230만 명으로 대폭 증가하고, 스트리밍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스트리밍이 회사 실적의 핵심 성장 동력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by데이비드 임
디즈니 2분기 실적 발표… 디즈니+와 훌루 합산 구독자 1억8000만 명 돌파, 리니어 방송 광고와 매출은 하락
플랫폼&정책

디즈니 2분기 실적 발표… 디즈니+와 훌루 합산 구독자 1억8000만 명 돌파, 리니어 방송 광고와 매출은 하락

디즈니(Disney)+와 훌루(Hulu) 합산 구독자가 1,8070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250만명이 증가하며, DTC 부문에서 영업이익 3.36억 달러(약 4,570억 원)를 기록하는 등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순이익은 32억8,000만 달러(약 4조 7,600억 원)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by김지영
삼성, STN(Samsung Television Network) 발표로 FAST 2.0으로 진화
스트리밍&소셜

삼성, STN(Samsung Television Network) 발표로 FAST 2.0으로 진화

삼성전자는 2025년 5월 6일 뉴욕에서 열린 IAB 뉴프론츠(NewFronts) 행사에서 새로운 FAST(무료 광고기반 스트리밍 TV) 채널인 STN을 발표했다. 기존의 FAST 채널들이 주로 단일 장르나 단일 시리즈 콘텐츠를 중심으로 편성되는 반면, STN은 시청자가 하루 종일 시청 가능한 다양한 인기 프로그램을 큐레이션 해서 제공한다고 밝혔다.

byHONG
SBS만 웃었다… 방송 콘텐츠 밀려난 2025 넷플릭스 코리아
플랫폼&정책

SBS만 웃었다… 방송 콘텐츠 밀려난 2025 넷플릭스 코리아

지난 5일 열린 제61 백상예술대상(2025년)에서 넷플릭스의 예능 오리지널 '흑백요리사:요리 계급 전쟁'이 방송부문 대상을,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드라마 작품상을 비롯해 4관왕을 차지하며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가 국내 시상식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이처럼 넷플릭스는 한국 콘텐츠 산업 내에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2025년 들어 한국 넷플릭스의 TV쇼 부문 TOP 10 중 7편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로 채워졌다. 이는 한국에서도 넷플릭스의 방송 콘텐츠 의존도가 점차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by데이비드 임
“어린이 없는 어린이날” 콘텐츠 산업의 공백… 방송도, OTT도, 극장도 준비되지 않았다
TV/OTT 콘텐츠

“어린이 없는 어린이날” 콘텐츠 산업의 공백… 방송도, OTT도, 극장도 준비되지 않았다

5월 5일은 어린이날이다. 어린이의 인권과 상상력, 창의성을 존중하고 증진하자는 의미에서 제정된 날이다. 그동안 어린이날을 맞아 각국의 방송사, OTT, 극장 등 문화 콘텐츠 산업은 어린이와 가족 시청자들을 위한 특별 편성 및 이벤트를 마련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어린이들이 TV를 떠나 유튜브 등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이동하면서, 국내 콘텐츠 산업 전반에서 어린이를 시청자로 끌어들이려는 노력조차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by데이비드 임
(속보) 트럼프, 해외 영화에 '100% 관세'로 "미국 영화와 안보 보호" 발표
플랫폼&정책

(속보) 트럼프, 해외 영화에 '100% 관세'로 "미국 영화와 안보 보호"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영화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5일(현지시간)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미국 영화산업은 매우 빠르게 죽어가고 있다”며 이 같은 조치를 ‘국가안보 사안’이라고 규정했다.

byHONG
광고와 프라임 비디오가 이끈 아마존 1분기 실적…제임스 본드도 ‘프라임’에서 부활
플랫폼&정책

광고와 프라임 비디오가 이끈 아마존 1분기 실적…제임스 본드도 ‘프라임’에서 부활

아마존이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광고 매출과 프라임 비디오를 중심으로 한 구독 서비스 부문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음을 확인시켰다. 특히 프라임 비디오의 광고 기반 요금제가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되며 스트리밍 플랫폼 경쟁 구도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by데이비드 임
Roku TV OS, 북미 1위 고수... FAST 텃밭 가꾸는 Roku의 1분기 실적은 맑아짐
스트리밍&소셜

Roku TV OS, 북미 1위 고수... FAST 텃밭 가꾸는 Roku의 1분기 실적은 맑아짐

Roku의 2025년 1분기 총매출은 10억 2,100만 달러(약 1조 4,80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특히 플랫폼 수익은 8억 8,100만 달러로 17%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수익의 약 86%에 해당한다. 플랫폼 수익 성장은 비디오 광고 매출과 프리미엄 스트리밍 서비스의 유통 계약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byHONG
숏 드라마의 폭발적인 성장... Quibi는 실패했지만 Short Dramas가 성공하는 이유
스트리밍&소셜

숏 드라마의 폭발적인 성장... Quibi는 실패했지만 Short Dramas가 성공하는 이유

2025년 1분기, 숏 드라마(short dramas, microdrmas) 앱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매출 약 33억 달러(약 4조 7,850억 원)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다운로드 건수는 2억 5,900만 건으로, 전 분기 대비 64% 증가한 수치다. 불과 몇 년 전, ‘세로형 단편 콘텐츠’의 가능성을 믿었던 퀴비(Quibi)가 시장에서 철수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숏 드라마의 성장이 무서울 정도로 이어지고 있다

by데이비드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