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g in
  • 구독하기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Blog

영국 의회, 스트리밍 기업 문화기금 5% 부과 권고… 자국문화 보호인가? 성공에 대한 관세인가?
플랫폼&정책

영국 의회, 스트리밍 기업 문화기금 5% 부과 권고… 자국문화 보호인가? 성공에 대한 관세인가?

영국 하원 문화·미디어·스포츠위원회(CMS)가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디즈니+, 애플TV+ 등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에 대해 영국 내 구독 수익(subscriber revenue)의 5%를 ‘문화기금(Cultural Fund)’으로 납부하도록 권고하면서 찬반 논란이 뜨겁다. 영국 의회는, 영국 내 프리미엄 드라마 제작 건수와 투자액이 감소하는 등 위기가 왔으므로, 자국 콘텐츠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해당 기금을 걷어 영국 드라마 제작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by데이비드 임
무료 웨이브 스핀오프 웹 예능의 성공적 런칭..방송과 OTT WIN-WIN 모델의 발견
스트리밍&소셜

웨이브 스핀오프 웹 예능의 성공적 런칭..방송과 OTT WIN-WIN 모델의 발견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웨이브(Wavve)가 최근 선보인 스핀오프 웹 예능 시리즈가 시청자들로부터 의미 있는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박나래가 단독 진행하는 웹 예능 <나래식>은 유튜브 채널 기준 가장 낮은 구독자 수를 보유함에도 불구하고, 웨이브 플랫폼 내에서 가장 높은 시청 시간을 기록했다. 이 프로그램의 시청자 중 78%가 MBC 예능 <나 혼자 산다>를 함께 시청한 것으로 나타나, 출연자 기반의 연계 소비가 실질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by김지영
유럽 방송의 생존 해법, 베드록… 기술 플랫폼 공유가 만든 새로운 OTT 모델
플랫폼&정책

유럽 방송의 생존 해법, 베드록… 기술 플랫폼 공유가 만든 새로운 OTT 모델

넷플릭스, 디즈니+, 아마존 프라임 등 글로벌 OTT 공룡들이 전 세계 미디어 시장을 장악하는 가운데, 유럽 방송사들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스트리밍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 중심에는 프랑스를 기반으로 한 기술 플랫폼 기업 ‘베드록 스트리밍(Bedrock Streaming)’이 있다. 유럽의 방송사들은 콘텐츠 중심의 직접 소비자 서비스(B2C)를 지향하기보다, 기술과 인프라를 공동으로 구축하여 ‘글로벌 테크 기업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구현하는 전략을 택하고 있다.

by데이비드 임
'오징어게임2' 완결 6월27일 공개 확정…넷플릭스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스트리밍&소셜

'오징어게임2' 완결 6월27일 공개 확정…넷플릭스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넷플릭스는 4월 17일(미국 현지시각) 발표한 주주 서한과 실적 발표를 통해 2025년 1분기 매출 105억 달러(약 14조 9,900억 원), 순이익 28억 9,000만 달러(약 4조 1,000억 원)를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5%, 24% 증가한 수치로, 월가 예상치를 상회하였다. 영업이익도 33억 4,700만 달러(약 4조 7,500억 원)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31.7%를 기록하며 수익성과 효율성 모두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by데이비드 임
구독 홍수의 시대...적과의 동침, '슈퍼번들링' 시대로 전환
스트리밍&소셜

구독 홍수의 시대...적과의 동침, '슈퍼번들링' 시대로 전환

미국 Z세대는 월평균 6.8개의 구독 서비스를 이용해, 전체 평균인 5.4개보다 26% 더 많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테크 기업 방고(Bango)가 발표한 보고서(2025.03)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의 펑균 구독 수는 5.4개 이며, 이중 2개는 간접 구독(Indirect Subscription)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전체의 68%에 달해, 기존의 직접(단독) 구독 중심 생태계가 급속히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by데이비드 임
AI 시대, 문맥 광고가 뜨고 있다...바뀌어야 산다!
AI&미디어, 엔터테크

AI 시대, 문맥 광고가 뜨고 있다...바뀌어야 산다!

AI를 기반으로 컨텍스트 광고(Contextual Advertising, 문맥 광고)가 광고 업계 차세대 핵심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문맥 광고는 단순히 광고를 송출하는 것을 넘어, 콘텐츠의 감정 흐름과 상황적 맥락에 기반하여 시청자에게 가장 적절한 시점에 최적화된 광고를 제공하는 AI 기반 타깃 광고이다. AVOD(광고 기반 주문형 비디오)와 FAST(무료 광고 기반 스트리밍 TV)가 급성장하면서, AI를 통해 콘텐츠의 문맥적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맞는 최적의 광고를 타깃팅 하는 최적의 솔루션이 각광받고 있다.

by데이비드 임
[Data 인싸] 2025년 3월 TV 및 스트리밍 트렌드 in U.S
DATA 인싸

[Data 인싸] 2025년 3월 TV 및 스트리밍 트렌드 in U.S

Youtube가 또 한 번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닐슨에 따르면 지난 3월 한 달 동안 미국 스마트TV 시청점유율에서 유튜브가 12.0%를 기록하며 2월(11.6%)의 기록을 갈아치웠다. 유튜브는 65세 이상의 고령층 시청자의 시간이 2년 전에 비해 대폭 증가하면서, 2~11세 어린이 시청자 비율(16.9%)가 유사한 15.4%를 차지하고 있다.

byHONG
[Data 인싸] 5년(2020-2024)간 한국 주요 스트리밍 플랫폼 실적 분석
DATA 인싸

[Data 인싸] 5년(2020-2024)간 한국 주요 스트리밍 플랫폼 실적 분석

지난 5년(2020-2024)간 한국 주요 스트리밍 플랫폼 실적 분석. 넷플릭스: 콘텐츠-수익 선순환 구조에 진입, 국내 OTT보다 한 단계 앞선 수익구조 완성 티빙: 수익보다 점유율 확장에 방점, Wavve와 통합 시 손익구조 변화 주의 필요 웨이브: 급격한 체질 개선 중이나, 투자력과 콘텐츠 경쟁력 확보가 과제로 남음

by데이비드 임
[Data인싸] 넷플릭스의 2024년 재무 요약
DATA 인싸

[Data인싸] 넷플릭스의 2024년 재무 요약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는 한국 내 넷플릭스 구독 멤버십 재판매 및 홍보 전담하고 있다. 서비시스코리아는 소비자와의 접점에서 수익을 발생시키며, 구독 비즈니스의 현지 수익 책임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 법인이다. 매출 : 8,997억 원 (전년 764억 원 증가) 영업이익 : 174억 원(전년 대비 53억 원 증가)

by조은송
CBS의 계약 위반으로 SONY가 제작한 '제퍼디!'와 '휠 오브 포츈' 배급권 박탈... 프로그램은 SONY의 품으로
플랫폼&정책

CBS의 계약 위반으로 SONY가 제작한 '제퍼디!'와 '휠 오브 포츈' 배급권 박탈... 프로그램은 SONY의 품으로

“제작은 SONY, 배급은 CBS”… 제작자 중심 권리 재편 시사, 한국 '최강야구' 사태와도 닮은꼴 CBS가 인기 게임쇼 '제퍼디!(Jeopardy!)'와 '휠 오프 포츈(Wheel of Fortune)'의 배급권을 박탈 당했다. 미국 LA 고등법원은 미국 방송사 CBS가 계약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Sony Pictures Television)가 제작 한, 두 신디케이션 게임쇼의 배급권을 박탈하고, 소니가 직접 배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판결을 내렸다.

by데이비드 임
프랑스 텔레비전 광고연합(SNPTV)에 아마존, 디즈니, 넷플릭스가 합류한 까닭은?
플랫폼&정책

프랑스 텔레비전 광고연합(SNPTV)에 아마존, 디즈니, 넷플릭스가 합류한 까닭은?

1989년 출범한 프랑스 텔레비전 광고연합(SNPTV)이 지난 4월 1일 명칭을 ‘ADMTV(Alliance des Médias TV & Vidéo)’로 변경하고,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아마존 광고(Amazon Ads), 디즈니+(Disney+), 넷플릭스(Netflix)의 정식 합류를 발표했다. 이번 개편은 프랑스 내 전통 방송사 중심의 광고 조직이 디지털 기반의 스트리밍 플랫폼까지 포괄하는 통합 광고 생태계로 전환되었음을 상징한다.

by데이비드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