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미디어의 미래는 글로벌에서도 통하는 로컬 콘텐츠. 이를 위한 '지역 미디어 번들'(The future of local media is local content that works globally. The Local Media Muti Bundle)

DML
DML

"K entertainment, which are loved by global audiences, started out as local Korean content."

In the age of streaming, local media in the U.S. are facing challenges. The proliferation of social media and streaming services has led to a sharp decline in local content consumption. In addition, younger generations are increasingly turning away from local TV and media outlet.  To combat this, some U.S. local media outlets are adopting a multi-platform strategy.

They are utilizing a variety of digital platforms, including social media, video streaming services, podcasts, and more, to disseminate local content and engage with audiences. Increasingly, local media across formats are joining forces to grow their audiences, influence, and revenue. Local broadcasters, newspapers, newsletters, podcasts, YouTube, and more are joining forces to survive. A cross-media alliance is not the same as a "multiplatform" where one company operates multiple platforms. Rather, it's a group of local media that are strong in their respective areas and create a "local media portal".

Neighborhood TV

Coalitions between local media give them power against social media services and streaming services. There is a clear demand for local news and information, local e-commerce, local sports, and more, and alliances can create a differentiated market and monetize that audience.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TikTok, Instagram, and others, are also sustained by local people posting their own content and advertising.

But while the information is clearly targeted to the local audience, they should continue to create content that will also be of interest to national (and even global) audiences. They should also continue to work on local media bundle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ir content. Local e-commerce is a great example of something that can go global.

FAST (Free Ad Supported Streaming TV), which has no global borders, is a great platform to test the global success of local content.  K entertainment, including K-dramas and K-pop, which are loved by global audiences, started out as local Korean content.


스트리밍 시대, 미국의 지역 미디어들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소셜 미디어와 스트리밍 서비스의 확산으로 지역 콘텐츠 소비량이 급격히 줄고 있다. 아울러 젊은 세대들의 지역 방송 이탈도 심화되고 있다.  이에 일부 미국 지역 미디어들은 위기 극복을 위해 멀티 플랫폼 전략을 펼치고 있다.

소셜 미디어,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팟캐스트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지역 콘텐츠를 전파하고 시청자와의 몰입도를 높이고 있다.

이와 관련 다양한 포맷 지역 미디어들이 오디언스 확대를 통한 영향력, 수익 증대를 위해 연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지역 방송과 신문, 뉴스레터, 팟캐스트, 유튜브 등이 생존을 위해 힘을 합치는 것이다. 미디어 간 연합은 한 회사가 다양한 플랫폼을 운영하는 ‘멀티 플랫폼’과는 다르다. 오히려 각자 영역에서 강점이 있는 지역 미디어들의 모여 ‘지역 미디어 포털’을 구축하는 모앙새다.

지역 미디어 간 연합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와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항하는 힘을 준다. 지역 뉴스와 정보, 지역 커머스, 스포츠 등에 대한 수요가 분명한 만큼, 연대를 통해 어느 정도의 오디언스만 확보하면 차별화된 시장 형성과 수익 확보가 가능하다. 페이스북, 틱톡, 인스타그램 등 소셜 미디어 역시, 다양한 지역 주민들이 자신들의 콘텐츠를 포스팅하면서 광고 등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지역을 타깃으로 한 정보지만, 내셔널(더 나아가 글로벌) 오디언스도 관심을 가질 콘텐츠를 계속 만들어 내야 한다. 자신들의 콘텐츠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지역 미디어 번들 작업도 계속해야 한다. 지역 e커머스는 글로벌로 확대할 수 있는 좋은 예다.

참고로 글로벌 국경이 없는 FAST(Free Ad Supported Streaming TV)는 로컬 콘텐츠의 글로벌 성공 가능성을 타진해보긴 매우 좋은 플랫폼이다. K드라마, K팝 등 K엔터테인먼트도 처음엔 한국 로컬 콘텐츠였다.

[지역 방송과 뉴스레터의 결합]

미국 대표적 지역 방송 테크나(Tegna)는 지역 기반 뉴스 레터 6AM City에 1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지역 방송과 지역 뉴스레터를 통합해 보다 지역에 밀착된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 플랫폼을 키우기 위해서다.

2016년 창업한 6AM City는 주로 미국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26개 시장에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다. 2024년 2월 현재 e메일 뉴스레터 구독자는 140만 명 정도다.  2024년 2월 현재 120명의 직원과 2023년 연간 매출 800만 달러(106억 원)를 기록했다.

6AM 공동 설립자인 라이언 히피(Ryan Heafy)는 신규 투자를 회사 규모를 키우는데 쓰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2024년에는 수익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투자로 회사 지배 구조는 바뀌지 않는다.

투자 라운드에는 템파에 위치한 가족 투자 회사 아메리칸 인베스트먼트 홀딩스(American Investment Holdings), 동남부 지역 스타트업에 자본을 제공하는 초기 단계 벤처 회사 벤처사우스(VentureSouth)와 롤리-더럼에 본사를 둔 사모펀드 회사 하브릿지 벤처(Harbright Ventures) 등도 참여했다.  히피CEO에 따르면 세 회사 모두 회사가  다른 엔젤 투자자들과 더불어 지난 7년 동안 6AM City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상당한 재투자를 해왔다.

테그나는 미국 51개 방송 권역에 64개의 로컬 뉴스 브랜드(방송사, 채널, 팟캐스트 등)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테그나는 매달 유튜브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약 6,000만 명 성인에게 도달하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 팔로워와 구독자 수는 4,000만 명 이상이다. 방송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테그나 비디오 도달율은 1억 5,000만 명이 넘는다.

[일일 뉴스레터와 아침방송의 상관관계]

미국 대표적인 지역 미디어인 테크나와 6AM시티(6AM CITY)의 결합은 새로운 시너지를 만들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서로의 미디어 오디언스를 늘릴 수 있다. 오디언스 확대는 광고 수익 증대와 직결되는 문제다.

먼저 테그나와 6AM은 자신들의 공통 커버리지 지역에서 협업에 나선다. 6AM의 뉴스레터 커버리지에 있는 테그나 지역 방송과 공동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서로 영역이 겹치는 곳에서는 6AM시티 뉴스레터에  테그나(Tegna) 지역 방송의 뉴스와 날씨 기사가 포함된다. 향후 지역 유명 레스토랑 및 기업 소개 등으로 확대도 가능하다.

이런 크로스 미디어 협업은 서로에게 도움을 준다. 지역 뉴스레터는 지역 방송 아침뉴스 시청률 상승에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지역 방송 콘텐츠를 담은 6AM시티 뉴스레터는 구독자도 확대에도 용이하다. 6AM시티는 뉴스레터를 통해 테그나 아침 뉴스 방송을 홍보하고, 테그나 지역 스포츠 팟캐스트 네트워크 '락온(Locked On)'의 스포츠 뉴스도 포함할 계획이다. 테그나 역시, 6AM시티 뉴스레터 콘텐츠를 자신들의 웹사이트, 팟캐스트, 인기 디지털 TV채널을 통해 홍보한다.

향후 두 회사는 또한 올해(2024년) 추가로 두 지역에 공동 제작 뉴스레터를 런칭하기 위해 협력할 방침이다.

테크나의 지역 방송

[지역 방송과 신문의 만남]

지역 방송과 신문의 결합도 진행되고 있다. 2023년 8월 미국 지역 방송 사업자인 콕스 미디어 그룹(Cox Media Group)이 지역 신문 그룹 맥클러치(McClatchy)와 손잡고 ‘하이퍼 로컬 스트리밍 네트워크(hyper-local streaming network) ‘네이버후드TV(Neighborhood TV, NTV)’를 런칭 했다.

하이퍼 로컬 스트리밍 뉴스는  지역에 더 집중하는 지역 뉴스다. 지역에 집중하다보면 오디언스와 시장을 놓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콕스는 이들 지역 뉴스들의 연대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만드는 실험에 들어갔다. 자신도 소비자(지역민)도 필요한 콘텐츠를 만들지만,  스트리밍을 통해 수익도 포기하지 않으려는 전략이다.

NTV는 지역 방송들의 뉴스(정보) 스트리밍을 한 플랫폼 안에 넣는 ‘지역 스트리밍 포털’이라고도 볼  수 있다.  지역 시청 제한도 없어 현재 NTV는 한국에서도 볼 수 있다.  

콕스 미디어 그룹(CMG)은 NTV가 현재 60개 지역 TV와 라디오 방송을 기존 권역을 시작으로 미국 전역의 수천 개 지역 커뮤니티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2023년 말 기준, 조지아 지역 70개와 노스캐롤라이나 지역 30개 등 114개 지역의 뉴스를와 정보를 커버하고 있다.

[지역 방송사 연합 스트리밍]

지역 방송사 및 채널들이 힘을 합쳐 자체 스트리밍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움직임도 계속되고 있다. 넷플릭스 등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과 싸우는 대표적인 지역 방송 그룹은 ‘싱클레어(Sinclair)’다. 싱클레어는 소속 지역 방송사들의 뉴스 채널을 묶은 ‘뉴스온(NewsON)’을 운영 중이다.


뉴스온은 지역 뉴스 방송사들의 채널과 뉴스 프로그램(VOD)를 하나의 앱으로 24시간 볼 수 있는 스트리밍 서비스다. PC와 모바일 뿐만 아니라 로쿠(Roku)나 애플TV 등 스마트TV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광고를 기반으로 무료 라이브 TV채널을 제공하는 개념이어서 ‘지역 FAST 플랫폼’으로 불리기도 한다.

2024년 2월 미국 인구의 91%가 넘는 160개 방송 시장, 275개가 넘는 TV방송사들이 뉴스온에 참여하고 있다. 뉴스온은 처음 2015년 미국 주요 지역 방송그룹들이 만들었다.

ABC소유 지역 방송사, 콕스 미디어 그룹(Cox Media Group), 하스트텔레비전(Hearst Television), 미디어 제네럴(Media General), 레이콤미디어(Raycom Media), 허바드 브로드캐스팅(Hubbard Broadcasting) 등이 초기 투자자다.  싱클레어는 2016년 1월 주주로 들어왔다.

이후 CBS뉴스&스테이션 등 13개가 넘는 지역 방송 그룹이 참여하며 명실공히 ‘지역 방송 대표 스트리밍’으로 부상했다. 뉴스온에 합류하는 지역 채널들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뉴스온은 또 FAST플랫폼에도 콘텐츠를 공급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지역 방송들의 연합도 진행되고 있다. 2015년 10월 일본 도쿄 지역 지상파 방송사들은 Tver라는 무료 광고 기반 AVOD 플랫폼을 만들어 크게 성공했다. MAU기준으로 일본 내 1위 수준이다. 티버에는 니폰TV, TV아사히, TV도쿄, 후지텔레비전이 대주주로 있다.

티비어는 주주 방송사의 콘텐츠를 송출 하며 VOD로 서비스한다. 실시간 방송을 보지 못한 고객들을 위해 일주일 동안 광고 기반 무료 방송을 제공한다. 또 실시간 방송도 스트리밍 한다.

2019년 8월에는 일본 공영방송 NHK의 콘텐츠를 유통하기 시작했다. 방송법상 광고를 편성할 수 없는 NHK가 상업 스트리밍을 손을 잡은 것이다. 당시 NHK는 스트리밍 시대, 공영방송의 도달율을 높이기 위해서 전격적 결정적 결정이라고 밝혔다.

2023년 현재 650개 방송사(지역)가 콘텐츠를 공급하고 있다.  다만 정확한 타깃 광고를 위해 로그인 시 생년월과 지역을 입력하게 한다. 2022년 4월 티비어(Tver)는 월간 비디오 시청이 2억 5,000만 뷰(monthly video views)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특히, 티버의 커넥티드TV시청은 지난 2021년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 전체 시청(View)의 25%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2022년 12월에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시장까지 진출했다. 사이쿄의 지칸와리(Saikyō no Jikanwari最強の時間割)라는 제목의 교육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2023년 1월에는 두 번째 오리지널 시리즈인 버라이어티 시리즈 홈 고로 시아이(Home Goro Shiai 褒めゴロ試合)도 선보였다. 티버는 스포츠 중계에도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일본 도쿄올림픽 중계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고 2023년 3월에는 스포츠볼과 함께 일본 고교 야구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경기 중계를 시작했다. 스포츠 라이브 중계에 대한 기술 지원(플레이어)는 브라이트코브(Brightcove)가 맡고 있다. 티비어의 자체 시청률도 높다. 덴쓰 미디어 파트너즈(Dentsu DY Media Partners)에 따르면 티비어의 사용률은 39.5%로 전년 대비 7.5% 늘었다

플루토TV에서 서비스되는 지역 채널

[FAST와 지역 방송의 만남]

최근 지역 방송들의 새로운 목적지는 FAST다. 무료 광고 기반 스트리밍 TV FAST(Free Ad Supported Streaming TV) 이용자수는  스마트TV의 확장세를 타고 크게 증가하고 있다. FAST서비스하는 채널수도 증가하고 있다.  전통 TV를 보지 않는 젊은 세대가 늘어나자 뉴스채널들의 FAST진출은 더 강화되고 있다. NBC, CBS, ABC, 폭스(FOX) 등 미국 전국 뉴스 스테이션은 모두 FAST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각 지역 로컬 뉴스도 이런 FAST채널의 확산을 주도한다.  미국 지역 뉴스 채널들은 FAST에 적극적으로 진출해 ‘커버리지’와 ‘광고 시장’을 넓히고 이들 지역 스트리밍 네트워크나 플랫폼들은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광고 기반 스트리밍 TV FAST에도 런칭되면서 오디언스를 계속 확대하고 있다. 삼성 TV플러스는 2024년 2월 현재 전체 434개 FAST채널 중 101개가 지역 뉴스(영어) 채널이다.

삼성 TV플러스 제공 채널(FASTMASTER)

FAST 지역 뉴스 채널은 2023년 이후  크게 성장했다. 지역 뉴스 FAST채널의 주된 흐름은  NTV(네이버후드 TV)와 베리로컬(Verylocal)과 같은 지역 뉴스 스트리밍 네트워크다.

지역 뉴스 스트리밍 네트워크는 자신들의 콘텐츠를 유튜브와 FAST에 그대로 송출하고 있다.  ABC뉴스도 로컬리쉬(Localish)라는 지역 뉴스 FAST를 가지고 있다. 알렌미디어그룹(Allen Media Group)은 지역 뉴스를 담은 ‘로컬나우(Local Now)’를 FAST로 서비스하고 있다.

앞으로 FAST에서 지역 뉴스 채널을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커넥티드TV를 이용한 지역 기반 뉴스, 날씨 등 정보 서비스, 지역 맞춤형 E커머스 등은 지역 방송사들의 미래 수익이 될 수 있다.

[한국 지역 미디어의 생존 방정식]

한국 지역 미디어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특히, 미국과 같은 지역 미디어 경제(광고)가 작동하지 않는 시장이기 때문에 연대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기도 어렵다. 때문에 한국 지역 미디어에 대한 절망적인 예견도 있지만 아직은 희망이 있어 보인다.

지역 미디어 번들링, 지역 e커머스 플랫폼 발굴, 버츄얼 광역화(FAST, 지역 뉴스 스트리밍), 지역 메가 뉴스룸 구축 등은 고려할 수 있는 '지역 미디어의 생존 방정식'이다.

물론 이들 전략을 사용하기 위해선 지역민들이 필요로하는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우선이다. 지역 콘텐츠 생산에는 커넥티드TV와 AI에 기대를 걸어볼만 하다. AI를 이용한 뉴스 요약, 하이퍼로컬 뉴스 생산 등은 지역과 미디어에 모두 이익일 수 있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유료 구독 프리미엄 독자들에게는 글로벌 미디어 관련 뉴스레터, 월간 트렌드 보고서, 독점 비디오 콘텐츠, 타깃 컨설팅(요청시)이 제공됩니다.

스트리밍 비즈니스, 뉴스 콘텐츠 포맷,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할리우드와 테크놀로지의 만남 등의 트렌드를 가장 빠르고 깊게 전합니다. '학자보다는 빠르게 기자보다는 깊게'는 미디어의 사명입니다.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인사이트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