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주목해야 할 미디어 산업] 숏폼, 스트리밍과 커머스의 결합(하)..미디어 미래를 설계하는 커머스 테크(Tech)
스트리밍과 커머스의 결합은 광고 기술(Adtech)과 AI가 가속시키고 있다. 스트리밍 커머스 테크(Streaming Commerce Tech)는 시청자(소비자)의 개인 경험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광고 효과를 최적화함으로써 스트리밍 플랫폼과 커머스 산업 성장을 동시에 견인하고 있다. 스트리밍 커머스는 실시간 상호작용과 높은 몰입감을 제공하며 콘텐츠와 광고를 결합시킴으로써 브랜드와 소비자를 연결 시켜주는
[2025년 주목해야 할 미디어 산업] 숏폼, 스트리밍과 커머스의 결합(중)..커머스 시장을 리딩하는 더우인(Douyin)과 릴스(Reels)
더우인은 출시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중국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동영상 플랫폼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더우인의 사용자는 WeChat에 이어 두 번째로 큰 7억 5천만 명에 달하며, 콰이쇼우(4억 7천만 명) 함께 중국의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참고로 글로벌 틱톡 MAU는 16억 명(2024.04)에 육박하며, 국내 틱톡 MAU는 2024년 8월 기준 710만 명 수준이다.
[특집-2025년 주목해야 할 미디어 산업] 숏폼, 스트리밍과 커머스의 결합(상)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던 이용자들은 이제 같은 플랫폼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있다. 미디어 산업이 기술 혁신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인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숏폼 콘텐츠와 스트리밍 서비스, 그리고 라이브 쇼핑의 결합은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핵심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근하신년] 2025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근하신년. 2025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다이렉트미디어랩 구독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들 드립니다. 새해에도 유익한 기사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올 한해, 방송과 미디어 업계와 종사자 분들 모두 행복한 일만 가득하시길 기원드립니다. :)
[특집 10] 2024년 국내외 방송•미디어 결산... AVOD와 FAST 플랫폼의 약진
치열해진 경쟁 환경 속에서 스트리밍 플랫폼들이 다양한 BM 전략을 모색하는 가운데 AVOD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AVOD는 광고를 시청하면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하거나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형태의 스트리밍 서비스다. FAST는 커머스와 결합하면서 스트리밍 콘텐츠 시청 중에 쇼핑을 이용하게 하고, 콘텐츠와 상품 구매를 연결시켜 시청자를 소비자로 변화 시키기도 한다. AST의 또 다른 인기는 무료 플랫폼이지만 FAST만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집 9] 2024년 국내외 방송•미디어 결산... 현지화를 통한 글로벌 전략
넷플릭스, 디즈니+,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max, 파라마운트+ 등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이 미디어 업계에 갖고온 가장 큰 혁신은 '유통의 혁신'이다. 그동안은 각 국가별 서비스 중심으로 발전해 온 탓에 Local과 Global 서비스는 분명히 나눠져 있었다. 하지만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세계 여러 나라에 동시에 콘텐츠가 전송되는 기술 환경 발달과 북미 중심 구독자 유치에서 유럽,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전 대륙의 구독자를 확보하면서 미디어 환경은 완전히 뒤바뀌게 되었다.
[특집 8] 2024년 국내외 방송•미디어 결산... 숏폼 콘텐츠
유튜브의 숏츠,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등 15초에서 3분 내외의 진짜 숏폼 콘텐츠가 대세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MZ세대의 또 하나의 특징이라면, 영상 콘텐츠를 숏폼 위주로 소비한다는 것이다. 짧은 집중 시간을 통해 빠른 정보를 흡수하고, 댓글과 공유, 콘텐츠 제작과 확산에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숏폼 문화를 만들어낸 세대이기도 하다. 어느덧 숏폼은 짧은 시청 시간을 활용해 '스낵 컬쳐'로 자리 잡고 있다.
[특집 7] 2024년 국내외 방송•미디어 결산... AI와 Media
올 한 해 AI의 열풍은 대단했다. 전자, 금융, 제조, 유통, 농업, 교통 등 산업 전반에 AI가 적용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였으며 방송과 미디어 분야도 역시 예외는 아니다. AI를 활용한 방송 프로그램이 제작되었고, 콘텐츠 제작 자동화나 AI 기반 자막 생성과 번역, 디지털 맞춤형 광고,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한 캐릭터 창조, 스토리 구조를 분석 등 AI 활용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특집 6] 2024년 국내외 방송•미디어 결산... 일본 콘텐츠의 성장
2020년 코로나19를 전후로 한국 콘텐츠가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의 유통망을 타고 전 세계에서 각광을 받았다. 그리고 한국 콘텐츠에 열광하던 국가 중에는 일본도 있었다. 일본 애니메이션은 일본 콘텐츠 산업과 스트리밍 산업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 '23년 일본 애니메이션 규모는 3조 3465억 엔(약 30조 7,800억 원)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갱신했다. 스트리밍 등으로 '해외 진출' 실적이 전년 대비 18%나 증가(1조 7222억 엔)하면서 이뤄낸 실적이다.
오징어게임 2... 시즌은 시작됐다. 외신들의 평가는?
황동혁 감독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게임 시즌2'가 어제(26일) 오후 5시에 스트리밍됐다. 미국 뉴욕 기준 26일 자정에 스트리밍을 시작한 것이었다. '오징어게임 시즌 1'은 22억 시청 시간과 2억 6,520만 뷰라는 대기록을 갖고 있는 넷플릭스 초 히트작 콘텐츠다. 그런 이유로 시즌 2의 개봉을 전 세계가 기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