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마추어 크리에이터(non-professional creators) 절반 이상(51%)이 자신의 창작 활동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한국 크리에이터 10명 중 6명(59%)는 향후 2년 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또 다른 기회가 올 것이라고 답했다. 한국 외 브라질은 58%, 미국 출신 비전문 크리에이터가 수익을 올리는 비중은 전체의 53%였다. 이는 팬데믹 이후 사회가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공해 팬들로부터 투자나 후원, 구독료, 수익을 직접 받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Creator Economy)’ 성장이 느려지는 가운데 나온 결과이어서 주목된다.

어도비는 2022년 10월 17일(미국 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창작 활동의 미래(The Future of Creativity study)’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2022년 5월,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일본, 한국, 브라질 등 글로벌 5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리딩(leading) 지역 5,000명 이상의 비 프로페셔널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으로 구성됐다. 조사 분석은 에델만 데이터&인텔리전스(Edelman Data & Intelligence)가 수행했다. 아마추어 혹은 비전문 크리에이터는 별도의 직업을 가지고 있으면서 취미나 부업으로 창작 활동을 하는 크리에이터를 말한다.

국가별 아마추어 크리에이터 콘텐츠 수익 달성 비율(어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