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2] 2024년 국내외 방송•미디어 결산. 스포츠 콘텐츠 강세
연말을 맞아 다이렉트미디어랩은 2024년 국내외 방송•미디어 산업 트렌드 Top10을 선정했다.
트렌드 하나씩을 집중 조명하며 한 해를 마무리 하고자 한다.
💡
2024 방송•미디어 트렌드 TOP 10
1. 스트리밍 Shift
2. 스포츠 콘텐츠 강세
3. 텐트폴, 예능 콘텐츠 제작
4. 달라진 예능 트렌드
5. 비영어 콘텐츠 확대
6. 일본 콘텐츠의 성장
7. AI와 미디어
8. 숏폼 콘텐츠
9. 현지화를 통한 글로벌 전략 (Local TO Global)
10. AVOD와 FAST Platform
1. 스트리밍 Shift
2. 스포츠 콘텐츠 강세
3. 텐트폴, 예능 콘텐츠 제작
4. 달라진 예능 트렌드
5. 비영어 콘텐츠 확대
6. 일본 콘텐츠의 성장
7. AI와 미디어
8. 숏폼 콘텐츠
9. 현지화를 통한 글로벌 전략 (Local TO Global)
10. AVOD와 FAST Platform
2. 스포츠 콘텐츠의 강세
2024년 한 해 동안 방송·미디어 산업에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스포츠 콘텐츠'의 강세다. 특히 첫 번째 트렌드인 스트리밍 콘텐츠 소비 이동과 맞물려 스포츠 콘텐츠는 방송에서도 스트리미밍에서도 핵심 콘텐츠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드라마의 높아진 제작비로 인해 오리지널 드라마 콘텐츠의 수익율이 낮아지면서 더 두드러지고 있다. 무엇보다 스포츠 콘텐츠는 두터운 스포츠 팬을 시청자로 확보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스포츠 강국 미국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 두드러진다.
넷플릭스(Netflix)는 올 1월, WWE(World Wrestling Entertainment)의 주간 프로그램 'RAW'의 독점 중계권을 10년간 50억 달러에 확보했다. 이 경기는 내년 1월부터 미국, 캐나다, 영국, 라틴 아메리카에서 독점 스트리밍된다. 지난 11월 15일에는, 전설적인 복서 마이크 타이슨과 유튜버 출신 복서 제이크 폴의 복싱 경기를 생중계했다. 생중계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가 있었지만 전 세계 6천 500만 명을 넷플릭스 앞으로 끌어 모으는 기록을 세웠다. 올 크리스마스부터는 NFL 두 경기를 생중계할 예정이다. 이 계약은 3년 동안 지속되며, 2025년과 2026년에도 크리스마스 당일 최소 한 경기를 중계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