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와 AI..미디어 혁명은 프롬프트에서 온다.(Hollywood and AI...The Media Revolution Comes from Prompts)

Visualization-generating AI, such as Sora, which generates video from text, is taking Hollywood's creative ecosystem by storm. Production with AI is becoming more active and proactive. It's now commonplace to use AI to create background scenes in virtual studios, AI voices, editing, and more, without having to shoot on location.

But the rules for using AI in Hollywood are still unwritten. The terms of the labor contract that the Screen Actors Guild and Writers Guild agreed to in 2023 after a 150-day strike include some provisions for the use and compensation of AI.

However, it doesn't define the entire process of working with AI, especially when it comes to disclosing or determining the level of AI involvement in the creative process, which has become an issue in recent years. But even as we speak, AI in Hollywood is evolving.

Movie and TV producers are increasingly using AI, blurring the lines between fiction and reality. This is causing a lot of problems on the set.  And with AI, Hollywood is now a battle of prompts rather than creative capabilities. Who asks the best questions, and what questions they ask, is changing the quality of the work.  Whether or not AI is used is also a big factor in the credibility of the work.


텍스트로 비디오를 생성해내는 소라(Sora) 등 시각화 생성AI가 일반 산업을 넘어  할리우드 창작 생태계도 강타하고 있다. AI를 통한 제작이 보다 더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제 야외 촬영 없이 버추얼 스튜디오에서 AI를 통해 배경 장면을 만들고 AI음성, 편집 등이 일반화 됐다.

그러나 할리우드에서 AI를 쓰는 규칙은 아직 규정된 바 없다. 할리우드 배우 조합과 작가 조합이 2023년 150일이 넘는 파업 끝에 합의한 근로 계약 조건에 AI의 활용법과 보상 규정이 일부 담겨있다. 하지만, 이는 전체 AI를 이용한 워크 프로세스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창작 과정에서 AI의 개입 여부를 공개하거나 수위를 결정하는 법은 없다.

하지만, 지금 이 상황에서도 할리우드에서의 AI는 진화하고 있다. 영화와 TV제작자들은 AI사용을 고도화하면서 허구와 실제의 경계를 더욱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이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는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AI가 도입된 할리우드는 이제 ‘제작 역량’보다 ‘프롬프트(Prompt, 명령)’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누가 더 잘 질문하고 어떤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작품의 퀄리티가 바뀌고 있다. AI 사용 여부를 공개하느냐도 작품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모든 콘텐츠에는 AI가 적용된다: 커밍아웃의 중요성]

넷플릭스(Netflix)가 최근 공개한 트루 크라임 다큐멘터리(true-crime documentary) ‘제니퍼는 무슨 짓을 했는가(What Jennifer Did)’는 내용보다 AI때문에 이슈가 됐다. 생성AI가 만들고 변형시킨 이미지를 사용했지만 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은 것이다. 이 사실은 미디어 퓨처리즘(Futurism)의 보도로 알려졌다.

넷플릭스는  다큐멘터리 초반 28분 경,  고등학교 친구 남 응우옌(Nam Nguyen)이 주인공을 묘사할 때 AI를 이용해 사진을 조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구의 묘사대로 ‘톡톡튀는 이미지’의 주인공을 그리기 위해 보다 활발한 이미지로 사진을 바꿨다.  이미지에는 AI가 생성한 사진(부자연스러운 귀나 손가락의 모습)의 특징이 등장한다. 일반 드라마라면 큰 문제가 없었겠지만, 다큐멘터리에 AI조작 이미지가 쓰이는 것은 부적절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일었다. 만약 불가피하게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이를 공개했어야 한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