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계를 허물고 전 세계로 뻗어가는 K-콘텐츠

한국 콘텐츠가 글로벌 스트리밍 광고에서도 가장 중요한 키 콘텐츠(Key Content)로 분석됐다.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문 매체인 버라이어티의 ‘Entertainment Everywhere 보고서’에서는 한국 콘텐츠가  ‘대륙을 넘나드는 콘텐츠(CONTENT ACROSS CONTINENTS)’ TV&영화 부문에서 핵심 국가로 분석됐다. 스페인은 라이브 스트리밍 부문,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음악 부문, 멕시코는 스포츠 부문, 브라질은 팟캐스트 부문에서 비영어권 콘텐츠의 핵심(KEY) 국가로 분석됐다.

이들 국가는 각 부문에서 자국을 넘어 인접 국가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존 Ads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소비자들은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열망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문화와 를 반영한 콘텐츠를 원한다는 응답이 70%로 나타났다. 특히 MZ 세대에서는 다양한 문화를 반영한 콘텐츠 스토리를 원한다는 비율이 74%~75%로 40~50대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MZ는 국제 미디어(International Media)에서도 편하게 느껴진다고 응답한 비율이 기성세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출처 : VIP+ “Entertainment Everywhere” report

2024년 아마존 프라임의 히트작인 폴아웃(Follout)은 18~34세 시청자들 사이에 가장 많이 시청된 시리즈로 시청자의 60%는 미국 외 시청자였다. 슬로우 호스(Slow Hores)는 영국에서 제작한 첩보 스릴러로 에미상까지 수상하며 애플TV+에서 가장 주목 받은 드라마가 되었고, 한국에서 제작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마스크걸(Mask Girl)도 비영어권 콘텐츠 중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전 세계 K-콘텐츠 팬덤을 확장하는데 기여를 하고 있다. 디즈니+에서는 쇼군(Shōgun)을 방영한지 6일 만에 9백만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또 하나의 글로벌 히트작으로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