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는 새로운TV...한국도 28년 1조 1,700억 원 시장
광고를 보는 대신 무료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는 유료 방송 시장을 넘볼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
FAST의 최대 시장은 미국이다. 옴디아와 버라이어티 등에 따르면 미국 FAST시장은 2023년 40억~60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때문에 미국 FAST채널의 진화 과정을 보면 FAST의 미래를 볼 수 있다는 것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미국 FAST 시장의 현재에서 우리의 미래도 엿볼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이 주관한 국제방송영상마켓 Bcww2023에서 열린 세션 ‘글로벌FAST: pay Never’에서는
미국과 유럽의 FAST 성장과 K콘텐츠의 인기로 볼 때 한국 FAST시장의 미래도 밝다는 지적이 나왔다. 다만, 한국 FAST시장이 커지기 위해선 방송사나 유명 스튜디오의 가세 등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 FAST 성장 ‘싱글IP와 브랜드 채널’]
지난 몇 년 간 미국 FAST채널과 플랫폼은 시청자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혁신을 진행했다.
미국 FAST는 일반 케이블TV처럼 4~6시간 정도를 단일 콘텐츠로 채울 수 있는 수준까지 성장했다. 하나의 시리즈를 연속 방송하는 싱글IP 채널(Single IP channel)은 이제 FAST의 대표 상품이 됐다. 싱글 IP채널은 전세계 사람들을 FAST로 끌어들이고 있다. 미국에서 인기를 끈 싱글IP채널은 다른 나라로 확산되고 있다. 또 FAST플랫폼들의 차별화를 위한 독점 채널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최근 미국 FAST는 방송사와 스튜디오, 스트리밍들이 자체 브랜드로 진출하면서 더욱 커지고 있다. TV방송사와 스튜디오들이 가세하면서 FAST 채널과 인지도는 더 높아지고 있다.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최근 3년 사이 브랜드 FAST채널은 80개, 66% 증가했다.
메이저 브랜드 채널의 FAST 등장은 의미가 크다.
이전 FAST채널 대부분은 라이브러리 혹은 인지도가 낮은 콘텐츠들로 채워졌다.
유명 미디어 기업들은 자신들의 기존 수익 모델(케이블TV, 스트리밍)과 충돌을 막기 위해 FAST에 진출하지 않았다. 실제, AMC의 FAST채널에는 AMC콘텐츠가 없었다. 소비자들이 기존 채널과 FAST를 혼동하길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디어 시장이 스트리밍 등 디지털 플랫폼으로 옮겨가면서 기업들이 생각은 바뀌었다.
스마트TV, 스트리밍 오디언스가 늘자, 기업들은 이 곳에서 브랜드를 활용하고 홍보하는데 FAST를 이용하고 있다. FAST채널, 플랫폼의 주된 소비 장소는 스마트TV다.
A+E네트워크(A+E Networks)는 지난해 기존 FAST채널 이름에 A+E라는 단어를 추가해 원전을 명확히(Presented by A&E)했다.
FAST 전용 브랜드를 만드는 기업도 있다. 소니(Sony)는 영화 FAST채널 ‘시네버스(Cineverse)’를 런칭했고 라이언스게이트는 ‘무비스피어(MovieSphere)’를 열었다. 라이언스게이트는 최근 ‘MovieSphere by Lionsgate’, ‘HerSphere by Lionsgate’, ‘OuterSphere by Lionsgate’ 등의 FAST채널을 오픈했다.
[2년 새 완전히 달라진 FAST…성장 속도 빠르다]
과거 FAST는 저렴한 운영 비용이 가장 큰 매력이었다. 이에 가장 먼저 TV에서 볼 수 없는 틈새와 전문 채널이 런칭됐고 독립 제작자와 소규모 콘텐츠 소유자는 자신의 채널을 운영했다.
이런 채널들은 여전히 FAST플랫폼에서 서비스된다. 필름라이즈(FilmRise), 화약 & 스카이(Gunpowder & Sky), 신뢰할 수 있는 미디어 브랜드(Trusted Media Brands) 등과 같은 독립 브랜드 채널은 여전히 FAST의 핵심이다.
그러나 FAST시장이 커지면서 중소 FAST채널은 노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싱글 IP채널의 시청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중소 FAST 채널은 관심에서 밀려 나고 있다.
앞으로 중소 FAST채널의 생존 경쟁은 더욱 가혹할 것으로 보인다. 점점 더 많은 브랜드 채널들과 방송사들이 FAST시자에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2023년 6월 NBC유니버설은 50개가 넘는 브랜드 FAST채널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SNL이나 The Real Housewives 등과 함께 NBC뉴스 채널(NBC News Now)도 대거 FAST로 투입된다. 또 A+E네트웍스(A+E Networks) 역시 추가 런칭 계획을 공개했다.
워너브러더스디스커버리(Warner Bros. Discovery) 역시 FAST에 합류했다.
이외 메이저 스튜디오도 FAST진출 가능성이 충분하다.
버라이어티는 넷플릭스와 디즈니도 광고 기반 스트리밍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FAST에 합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애플 TV는 이미 스포츠 중계 콘텐츠에 광고를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애플 TV+자체 오리지널 콘텐츠를 다른 FAST에 공급할 수 있다.
혹은 애플 TV+ 앱에 광고를 포함하는 FAST플랫폼을 탑재할 수도 있다. 이외 구글도 구글TV에 FAST채널을 포함시키는 등 시장에 관심이 많다.
[새로운 시청자를 끌어올 수 있는 브랜드 FAST]
브랜드 FAST채널은 새로운 시청자를 끌어올 수도 있다. 유명 채널들이 많으면 시청자도 모이게 된다.
플루토TV(Pluto TV) 당시 바이어컴CBS(파라마운트 글로벌)의 채널들의 콘텐츠를 편성한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한 바 있다. 브랜드 FAST에도 이런 기대를 걸 수 있다. 특히, 젊은 시청자들을 FAST로 몰고 오는데는 음악이나 장르별 브랜드 FAST가 필요하다.
FAST는 스마트TV를 넘어 케이블TV까지 진출했다. FAST서비스는 컴캐스트 엑시피니티 등 케이블TV 셋톱박스에도 탑재됐다. 2023년 스트림TV 쇼에서 케이블TV사업자 컴캐스트와 차터가 만든 합작 FAST 주모(Xumo)는 19개 주모 FAST채널과 NBC뉴스 나우(NBC News Now)를 컴캐스트의 X1케이블 셋톱에 탑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컴캐스트는 주모 채널들을 vMVPD서비스 나우 TV(Now TV, 20달러)와 인터넷 가입자 적용 엑스피티니 스트리밍 앱(Xfinity Stream)에 탑재했었는데 이를 오프라인 세톱까지 확장한 것이다. 또 실시간 채널이 탑재된 가상 유료방송플랫폼(vMVPD)에도 FAST채널은 송출되어 왔다.
[한국 FAST, 2028년 1조 1,700억 시장]
한국 FAST시장은 시작 단계다. 새로운 미디어와 유명 브랜드들이 가세하면서 국내 시장은 커지고 있다.
삼성 TV플러스 등의 FAST플랫폼에 CJ ENM, 종편, 보도채널 등도 이미 FAST채널을 공급하고 있다.
삼성, LG 스마트TV 등에 FAST채널을 공급하는 사업자 뉴아이디가 운영하고 있는 채널은 200개가 넘는다. 최근에는 씨네21, 아리랑TV, YG TV 등 전문 콘텐츠 사업자들도 FAST채널을 런칭하면서 전문화되고 다양화되고 있다.
‘심야괴담’, ‘맛있는 녀석들’ 등 싱글 IP채널도 나오고 스포츠 채널도 늘고 있다.
8월 18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3 국제방송영상마켓 Bcww2023 ‘글로벌 FAST’세션에 연사로 참석한 버라이어티 선임 미디어 애널리스트 게빈 브릿지(Gavin Bridge)는 “한국 FAST시장 규모가 2028년에는 8억 7,600만 달러(1조 1,700억 원)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한국 콘텐츠는 미국 FAST에서도 인기가 많다”고 강조했다.
실제, 한국 FAST채널은 K콘텐츠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해외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다
LG는 FAST플랫폼 LG채널스(LG channels)에 K콘텐츠를 컨셉트로 한 채널들을 집중 편성하고 있다. 드라마, K팝, 버라이어티에 이어, K뉴스까지 해외에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정우 LG전자 유럽 HE 콘텐츠 및 서비스 책임은 Bcww2023 글로벌 FAST 세션 발표에서 “ LG채널스(LG channels)는 유럽에서 YTN를 런칭한 이후 시청량이 500% 증가했다”고 밝혔다.
뉴아이디(NewID) 북미 시장에 K콘텐츠 전문 FAST '빈지 코리아(BINGE Korea)’를 선보였다.
미국 FAST시청자들에게 K콘텐츠를 제공하는 FAST플랫폼이다. 미국이나 스페인어 콘텐츠가 아닌 FAST채널들이 플랫폼으로 제공되긴 이번이 처음이다.
빈지코리아는 삼성, LG스마트TV, 아마존 파이어TV 등에 서비스되며 로쿠,IOS, 안드로이드TV에서도 제공할 예정이다. 뉴아이디는 12개 플랫폼에서 36개 채널을 초기에 공급한다.
빈지코리아에서 제공되는 채널은 K푸드 등 큐레이션 콘텐츠뿐만 아니라 로보카폴리, 나의유감스러운 남자친구 등 하나의 콘텐츠를 편성하는 싱글 IP FAST채널도 서비스된다. 뉴아이디는 연내(2023년) 100개 가 넘는 FAST채널을 북미에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인들의 한국 콘텐츠 인지도도 높아지고 있다.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2년 해외 OTT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미국 스트리밍 시청자 중 절반(43%)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콘텐츠를 본 적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콘텐츠 붐은 대규모 투자도 불러오고 있다. 넷플릭스의 공동 대표 테드 사란도스는 2023년 4월 윤석열 대통령 미국 방문 당시, 한국에 향후 4년간 25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FAST는 미국 내 한국 콘텐츠 확장에도 더 도움을 줄 수 있다.
FAST는 중장년뿐만 아니라 젊은 층에도 확산되고 있다. 박준경 뉴아이디 대표는 버라이어티와 인터뷰에서 “ 4년간 한국 콘텐츠 불모지였던 글로벌 FAST 플랫폼에서 장르별 한국 콘텐츠 채널을 확대 운영했다”며 “빈지코리아는 한국 콘텐츠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압축적으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K콘텐츠 시청 경험을 채널에서 플랫폼으로 확장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Bcww2023 현장에서 “우리는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와 한국 콘텐츠에 관심이 많은 시청자들을 타깃으로 한국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고 개발 콘텐츠 매출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